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국민안전처는 1일부터 21개의 신고전화가 119(재난), 112(범죄), 110(민원상담) 3개 번호로 통합되는 ‘긴급신고전화 통합’ 서비스를 시범 개통한다고 밝혔다.
시범서비스는 오는 7월 1일 광주, 전남, 제주 3개 지역을 대상으로 시작되며 15일부터는 전국으로 시범서비스 지역이 확대되고 10월 말에는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이번에 시행되는 긴급신고전화 통합으로 긴급신고가 더 빠르고 편리해지고 민원상담도 한결 쉬워질 전망이다. 국민들은 개별 신고전화번호를 몰라도 119, 112, 110으로만 전화하면 편리하게 긴급신고 또는 민원상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긴급신고 공동관리센터를 중심으로 신고접수단계부터 기관 간 신고정보를 실시간 공유해 국민들은 반복적인 설명을 하지 않아도 되고 어느 번호로 걸어도 동일한 신고접수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영상신고 다매체 시스템 구축으로 폭행, 강도 등 긴박한 사건 현장의 사진이나 핸드폰 영상 등을 활용한 신고가 쉬워진다. 아울러 공동대응체계를 통해 소방, 해경, 경찰의 재난현장 출동 시간이 단축돼 골든타임 확보가 가능해진다
시범서비스기간 동안 통합시스템을 24시간 모니터링 해 실시간 신고이관과 공동대응 처리절차를 꼼꼼히 점검할 예정이다. 또한 시범서비스 모니터링단을 운영해 실제 국민의 입장에서 전화를 걸어 민원상담 서비스를 체험하고 불편사항에 대해서도 확인할 계획이다.
김영갑 긴급신고통합추진단장은 “119와 112에 걸려오는 비긴급전화나 장난전화는 긴급출동 대응시간을 늦추는 원인이다. 바로 출동이 필요하지 않은 비긴급 민원상담 전화는 110으로 거는 것이 나와 타인의 안전을 지키는 최선의 방법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