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정부는 오는 22일 정월대보름을 앞두고 달집태우기, 쥐불놀이 등 야외 행사를 하면서 산불 우려가 높아 산림 또는 산림인접지역에서 일체의 소각행위를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0년간 연평균 395건의 산불이 발생해 산림 465.72ha가 소실됐고 이 중 봄철인 2~5월에 가장 많은 281건(71%)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별로는 입산자 실화가 156건(40%), 산림연접지 소각 116건(29%), 담뱃불 등 실화 51건(13%) 순으로 나타났다. 정월대보름에는 연평균 5.2건의 산불이 발생해 산림 2.05ha가 소실되는 피해를 입은 바 있다.
이번 정월대보름 전후에는 전국적으로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는 가운데 달집태우기, 풍등 날리기, 쥐불놀이 등 야외행사와 무속행위 등에 의해 산불발생 위험이 높은 상황이다. 안전처는 20일부터 23일까지를 ‘정월대보름 특별경계근무기간’으로 정하고 정월대보름 주요 행사장 396개소에 대한 순찰, 발화요인 사전제거 등 화재예방 감시체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소방인력 6,516명을 전진 배치해 유사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불법 행위에 대한 단속도 강화한다. 산불 위험·취약지, 입산 길목 등에 감시 인력을 배치하고 산림 연접지역 소각행위 등을 집중 단속해 위반할 경우 ‘산림보호법’ 등에 따라 엄중히 처리할 계획이다.
안전처 김희겸 재난관리실장은 “산불은 지역주민, 등산객 등 홍보를 통한 사전예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산불발생 시에는 헬기지원 등 초기진화를 위해 관계기관 간 공조체계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