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참석차 프랑스를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파리 현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북핵 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한러 정상회담은 2013년 11월 푸틴 대통령의 국빈 방한시 열린 회담 이후 2년 만에 개최됐으며, 박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은 이날 양국 현안을 놓고 40분간 대화를 나눴다.
박 대통령은 지난 9월 한중 정상회담, 10월초 한미 정상회담, 이달초 한일 정상회담에 이어 이날 한러 정상회담을 개최함으로써 올해 하반기 한반도 주변 4국과의 정상외교를 마무리했다.
박 대통령은 회담에서 "국제사회의 사실상 유일한 비핵화 과제인 북핵문제를 시급성과 확고한 의지를 갖고 다뤄 나가야 한다"면서 "북한이 올바른 인식을 갖고 핵문제에 대한 입장을 재고해 의미있는 비핵화 대화가 재개될 수 있도록 러시아가 적극적 역할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박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및 안정을 위한 러시아의 건설적인 역할을 평가한다"면서 "한반도 평화통일 환경을 조성해 나가는데 러시아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지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푸틴 대통령은 "북핵 불용 원칙 하에 외교적 방법을 통한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화답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발생한 러시아 여객기에 대한 테러 행위로 많은 러시아 국민들이 희생된 데 대해 깊은 애도의 뜻을 전한다"면서 "양국관계가 최근 어려운 국제적 여건하에서도 다방면에서 발전되어 왔다"고 말했다.
또한, 두 정상은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러시아의 신동방정책이 공동의 목표를 지향하고 있는 만큼 양국간 호혜적 실질 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동력이 되고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극동·시베리아 개발 협력을 통해 양국관계를 보다 호혜적 차원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아울러 양국 정상은 남·북·러 3각 협력사업이 양국 경제협력뿐만 아니라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에도 기여할 것이라는데 공감하고, 나진-하산 물류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나진·하산 프로젝트는 러시아산 유연탄을 러시아 하산과 북한 나진항을 잇는 54㎞ 구간 철도로 운송한 뒤 나진항에서 화물선에 옮겨 실어 국내 항구로 가져오는 복합 물류 사업으로 시베리아횡단철도(TSR)를 통한 우리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러시아의 유라시아 전략간 연계방안의 핵심 고리로 부상하고 있다.
청와대는 "한-러 수교 25주년을 맞아 개최된 이번 정상회담은 그간의 양국관계 발전을 위한 상호 노력을 평가하고, 향후 호혜적 실질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됐다"며 "9월 중국, 10월 미국, 11월 일본에 이어 올 하반기 주변 4국과의 정상외교를 마무리한다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