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염현주 기자] 알레르기비염 환자는 봄보다 가을에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10년 약 560만8천명에서 2014년 약 635만명으로 5년 전에 비해 74만2천명(13.2%) 증가해 연평균 증가율은 3.2%로 나타났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주로 환절기에 많이 발생하는데 최근 5년간 9월 평균 진료인원이 114만6천명으로 전월보다 2배 이상, 3월에 비해 30% 이상 증가를 보였다. 이 중 10세 미만 유·소아가 전체 진료인원의 24.3%로 4명 중 1명이 진료를 받았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기후변화 등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들에 의해 코 점막이 자극을 받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지속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 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이 감기와 비슷하나 자극을 받았을 때 갑자기 발생하며 발열증상은 없으나 눈 충혈, 후각 감퇴, 두통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중이염, 부비동염, 인후두염, 결막염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효과를 볼 수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환경을 피하는 것이다. 집먼지 진드기, 애완동물의 털 제거를 위해 주기적인 침구류 청소와 함께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기간에는 마스크를 착용한다.
심사평가원 노영수 심사위원은 “알레르기성 비염은 원인인자를 피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다. 개인마다 원인이 다르므로 평소 자신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인자들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