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명선 기자]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 진료환자는 야외활동이 늘고 노출이 많은 옷을 입게 되는 7월과 8월 사이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으로 병원을 찾은 진료인원은 여름철인 7, 8월에 많았다.
건강보험 진료인원을 보면, 2009년 391만 1,866명에서 2013년 479만 1,502명으로 연평균 5.2% 증가했다. 남성은 2009년 158만 4,939명에서 2013년 196만 5,000명으로 연평균 5.5%, 여성은 2009년 232만 6,927명에서 2013년 282만 6,502명으로 연평균 5.0% 증가했다. 2013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평균 진료인원은 9,585명으로 여성이 1만1,374명, 남성이 7,816명으로 여성이 약 1.5배 더 많이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은 외부 물질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염을 말한다. 피부 병변이 주로 원인 물질과 접촉한 부위에 발생한다. 그 외 증상들은 주로 가려움이 있는 붉은 반점이나 구진이 발생한다. 급성인 경우에는 물집이나 진물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은 매우 오래 지속되고 항원에 반복적으로 노출이 되면 재발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에 원인 항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원인이 밝혀진 경우에는 원인 물질 뿐만 아니라 교차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도 같이 피하도록 해야 한다.
화장품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에는 원인 물질이 포함된 화장품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고 성분을 모르는 화장품을 새로 사용할 시에는 샘플을 소량 민감한 피부에 발라 보아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지 확인을 한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 “금속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에는 귀걸이 목걸이 등에 원이 금속이 포한 됐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바지 단추나 브래지어 금속 부위에도 금속 알레르기가 생길 수 있으므로 직접적인 피부 접촉을 막아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