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한국의 대표 효자종목인 사격 종목 국가대표 선수단의 총감독으로 10여 년 간 활동해 온 A씨가 선수 훈련에 쓰여야 할 국고보조금 약 12억 3천만 원을 횡령한 사실이 스포츠4대악합동수사반을 통해 밝혀졌다.
합동수사반은 2007년부터 2013년까지 8회에 거쳐 지급된 태국 전지훈련 체재비 16억 5천만 원 중 8억 3천만 원,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창원에서 실시된 37회의 국내 촌외 훈련에 지급된 체재비 12억 7천만 원 중 약 4억 원을 횡령한 혐의로 A씨를 포함한 관계자 9명을 불구속 입건해 검찰에 송치할 예정이다.
지난해 5월부터 문화체육관광부와 경찰청이 합동으로 운영해온 스포츠4대악합동수사반은 이번 사격연맹 횡령비 사건 수사를 끝으로 활동을 종료한다. 대신 스포츠4대악신고센터는 ‘스포츠비리신고센터’로 이름을 바꾸고 스포츠 비리신고 접수와 조사 기능을 담당한다. 수사가 필요한 사항은 각 지방경찰청의 지능범죄수사대에 의뢰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그동안 스포츠4대악합동수사반은 전 대한택견연맹 회장이 약 13억 원의 보조금을 횡령한 사건, 대학 유도부 감독인 아버지가 아들의 대학 특례 입학을 위해 승부조작을 의뢰한 사건, 승마 국가대표 순회코치 2명이 실제로 선수를 지도하지 않고 지도보고서를 허위로 작성해 각 4천5백만 원 상당의 훈련비를 횡령한 사건, 유도학과 교수 2명이 매년 전국체전에 자신의 학생들을 시도 용병 선수로 출전시키고 선수가 받은 훈련비, 출전비를 착복한 사건 등을 수사했다.
스포츠4대악신고센터에는 7월 1일 현재 389건의 신고가 접수됐고 이 중 201건이 종결됐다. 종결된 사건 중에는 6건이 검찰 또는 경찰에 수사의뢰, 6건은 합동수사반 수사 후 검찰 송치, 48건은 징계 등의 조치가 요구됐다.
또한 지난 12월 발표된 제도개선 사항 중 비리관계자의 처벌을 강화하는 규정의 개정, 경기단체 보조금 정산의 외부 회계법인 위탁, 세부 결산 정보의 공시 등 단기과제는 대부분 완료됐다. 전국규모 대회의 지자체 유치지원금과 전국체전 타 시도 출전 선수에 대한 훈련비 집행의 표준화 방안도 올해 안에 마련할 예정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체육계의 비리들을 뿌리 뽑고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당분간 체육계의 어두운 부분이 수면 위로 드러날 수밖에 없다. 드러난 비리에 대해서는 해당 단체에 대한 보조금 지원 중단 등 단호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니 체육계가 제 모습을 찾는 과정을 지켜봐 달라”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