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조윤미 기자] 50, 60대 이상 선종성 용종 환자가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선종성 용종’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했다. 이 결과 진료환자는 2008영 6만 8천명에서 2013년 13만명으로 나타나 1.9배 증가했다. 남성은 4만 3천명에서 8만 3천명으로 1.9배, 여성은 2만 5천명에서 4만 7천명으로 1.9배 증가했다.
2013년 기준으로 성별·연령별 진료인원 현황을 보면, 남성은 50대(2만8,814명), 60대(2만2,923명), 40대(1만4,088명) 순이고 여성은 50대(1만7,279명), 60대(1만3,588명), 40대(6,712명) 순으로 나타났다. 전 연령대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다.
2013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연령별 진료현황을 보면, 60대가 850명으로 가장 많았고 70대 607명, 50대 590명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60대 1,100명, 70대 873명, 50대 736명 순이었고 여성은 60대 615명, 50대 444명, 70대 406명 순이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조용석 교수는 “선종성 용종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는 대장 질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대장내시경 검사 건수가 증가한 점과 육류 섭취 증가로 인한 식생활 서구화, 인구 고령화에 따른 고령층 인구 증가 때문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선종성 용종은 대장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신생물성 용종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대장암의 95% 이상이 선종에서 발생되는 전암단계라고 볼 수 있다. 선종성 용종의 10%는 서서히 대장암으로 진행하며 선종 발생 후 자라서 암이 돼 증상을 보일 때까지 약 5~10년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종성 용종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대장용종이 있을 경우 이를 떼어낸 후 조직검사를 통해 선종성 용종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조 교수는 “선종성 용종의 95%는 뚜렷한 유전적 소인이 확인되지 않는다. 지방 섭취, 과음, 과체중, 흡연은 선종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반면 식이섬유, 야채, 탄수화물, 칼슘, 엽산, 비타민 D 섭취는 선종의 유병율을 감소시킨다”고 했다“며 ”용종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40대 이후 정기적인 대장내시경검사를 시행하고 발견된 용종을 제거해주면 대장암 발생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 특히 국가검진사업에서 시행되고 있는 분별잠혈검사결과 양성판정자는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