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급증하는 택배화물을 시간당 2만 개까지 처리할 수 있는 고속분류기가 2017년까지 개발된다.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4m/sec의 속도(시간당 2만개 처리 가능)로 상자화물을 분류할 수 있는 국산 고속분류기 연구개발(R&D) 사업을 착수한다.
전자상거래 발달로 2001년 2억 2만 개였던 택배 화물이 작년 15억 6백만 개로 7배 이상 급증하면서 택배화물을 고속으로 처리해야 하는 수요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고속분류기는 물류센터에서 다품종 소량주문의 화물을 신속·고속으로 분류해 고객에게 정확하게 배송하기 위한 장비다.
이번 개발이 완료되면 수입품의 국산화가 가능해지고 최대 2.6m/sec 속도로 시간당 1만개의 상자만 처리하고 있는 현재의 수입 장비 보다 2배로 효율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술개발이후 2018년 약 150억 원의 수입대체와 100억 원의 수출 효과가 예상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4.0m/sec의 초고속 상자화물 분류기 기술을 물류센터에 도입하면 기존 분류방식에 비해 물동량 처리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물류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 할 수 있다. 향후 국내 뿐 아니라 해외시장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