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혜선 기자] 최근 전 세계가 기후 변화에 의한 각종 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 점은 우리나라도 예외일 수 없는데 요즘은 여름철 장마가 찾아오는 만큼 폭우, 산사태에 대한 우려가 늘고 있다. 산사태는 경사가 급하게 변하는 곳이나 평소 용출수가 많은 곳, 그리고 산지가 개발된 곳에서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1년에 서울 우면산 산사태가 발생했었고 이는 16명의 인명피해를 가져왔다. 우면산 산사태는 과거 농·산촌 지역에 집중됐던 산사태가 점차 도시생활권까지 확대되고 있음을 보인 전대미문의 도시생활권 대참사였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산사태의 위험성이 커짐에 따라 막대한 인적·경제적 소실을 막고,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산사태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자 14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국제 산사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 행사는 국립산림과학원과 국제 산사태 컨소시엄 동북아시아네트워크(ICL-NEA)가 공동으로 개최하며 국제 산사태 컨소시엄(ICL) 사무총장인 일본 교토대학 교지 삿사 교수를 비롯해 동북아시아 산사태 전문가 200여 명이 참석한다.
삿사 교수는 기조연설에서 전 지구적 강우·지진에 의한 대규모 산사태 발생 메커니즘 및 모니터링 기술을 소개하고 국제 간 협력의 중요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대만의 국립대만대학 리우 교수와 일본 교토대학의 후쿠오카 교수는 집중호우에 의한 전 세계 대규모 산사태 발생사례를 소개하면서 산사태위험지도 작성의 중요성을 말할 예정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이창우 박사는 “이번 심포지엄의 개최는 산림과학원을 비롯한 국내 산사태 관련 기관들의 연구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