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세미 기자] 국민권익위원회는 최근 휴대전화 개통 시 고가의 요금제 가입을 강요하거나, LTE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라고 과장 광고하는 사례, 기기 대금을 할인해 주겠다고 고가 요금제 가입을 유도한 뒤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 사례 등 ‘통신 요금제’와 관련한 민원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민신문고를 통해 올 1월부터 5월까지 접수된 관련 통신요금제 민원은 총 2,362건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1,468건이 접수된 것과 비교해 60.9%나 증가한 수치다. 접수민원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요금제는 휴대전화와 관련한 요금제 민원으로 LTE 요금제(34.3%), 약정계약(29.3%), 데이터 요금제(22.5%), 무제한 요금제(9.7%) 등의 순이었다. 최근 들어 각종 무제한 요금제가 경쟁적으로 출시되면서 ‘무제한 요금제’ 민원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원 처리기관은 방송통신위원회(72.7%), 미래창조과학부(12.5%), 한국소비자원(4.7%), 공정거래위원회(3.4%), 경찰청(2.6%) 순으로 나타났다. 올 1월을 정점으로 방송통신위원회 민원은 급감한 반면, 3월부터 미래창조과학부 민원이 증가하고 있고, 지난해 동기와 비교하면 경찰청과 공정거래위원회 민원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민원은 비수도권(39.0%)보다 수도권(61.0%)에서 더 많았고, 성별은 남성(67.6%)이 여성(30.5%)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연령별로는 30대(40.5%), 40대(24.2%), 20대(23.1%), 50대(6.7%) 순이었다.
<수도권 대 비수도권 비교>
권익위 관계자는 “국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분석한 민원정보를 언론에 공표하고 관계기관에 제공함으로써 개선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