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희연 기자] 매년 임금체불로 인한 피해근로자가 약 30만명에 달하고, 체불액이 1조원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체불사업주에 대한 낮은 처벌수준(통상 벌금형 부과), 체불에 대한 경미한 죄의식 등으로 임금 체불이 근절되지 않는 실정이다.
고용노동부는 체불사업주에 대한 다양하고 강한 제재를 마련해 체불의 예방과 신속한 청산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 2월 근로기준법을 개정해 상습 체불사업주에 대한 명단공개·신용제재 제도를 도입했다. 이에 그 후속조치로 전국은행연합회와 24일 임금체불사업주 제재를 위한 체불자료의 신용정보 활용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앞으로 고용부가 악의·상습적 체불사업주의 체불자료를 종합신용정보기관(전국은행연합회)에 제공하면, 각 금융기관에서는 종합신용정보기관에 수집된 체불자료를 활용해 사업주의 신용도를 판단하게 된다.
체불자료 자료 대상은 3년 이내 임금 등을 체불해 2회 이상 유죄가 확정된 사실이 있고, 임금 등 체불총액이 2천만 원 이상인 경우 체불자료가 은행연합회에 제공돼 사업주의 신용평가에 반영된다.
단, 선의의 체불사업주를 보호하기 위해 체불임금을 전액 지급하거나 체불임금 지급을 위해 최선을 다한 사업주는 신용제재 대상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체불 청산을 유도하기로 했다. 체불사업주의 사망, 파산, 사실상 도산 등 제재의 필요성을 인정할 수 없는 경우 신용제재 대상에서 제외해 제재가 남용되는 것을 방지했다.
이채필 고용노동부장관은 “공정노동시장을 만드는 초석으로서 임금체불근절, 최저임금 준수, 서면근로계약 체결 등 3대 기초고용질서 확립해 나갈 것이다”며 “특히 악의적, 상습적 체불사업주에 대해서는 구속수사 등 강력한 처벌과 함께 명단공개·신용제재 등 사회적, 경제적 불이익을 부과해 체불을 근절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