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선화 기자] <강원도 평창 '붓꽃섬'> 2018평창동계올림픽이 열리는 강원도 평창군에는 산중의 섬 ‘붓꽃섬’이 있다. 흥정계곡이 만든 약 20,000m² 규모의 작은 섬으로 보랏빛 붓꽃이 많이 피어 붓꽃섬이라 불린다. 이 섬에 들어서면 한여름에도 상쾌하다. 섬 가장자리로 흐르는 계곡수가 상류의 차가운 공기와 함께 섬을 감싸고 흐르기 때문. 섬 안의 상쾌함을 유지시키는 데는 짙은 숲도 한 몫을 한다.
섬 안의 나무들은 섬 주인이 태어나던 해에 그의 아버지가 심은 50년 넘은 잣나무와 아버지가 태어나던 해 할아버지가 심은 90여년 된 아름드리 잣나무와 낙엽송이 주를 이룬다. 그 사이사이 강원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엄나무, 느릅나무, 돌배나무 등이 자라고 있다.
언제든 기분 좋은 산림욕을 즐길 수 있는 까닭이다. 이처럼 숲이 짙고 기온이 낮은 곳은 공기 중의 산소량이 월등히 많다고 한다. 그저, 숲에 의지해 눕기만 해도 피로가 회복되는 이유다.
한편 봉평면은 이효석의 고장이다. 그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이 1936년 <조광> 10월호에 발표된 이후부터 지금까지 이효석과 봉평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이름으로 기억된 것. 아예 이효석의 삶과 문학세계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살펴볼 수 있는 이효석문학관이 자리하고 있다. 전시관에서는 그의 작품이 실렸던 신문, 친필 원고, 발행된 책 등과 옛 봉평장터와 메밀가공과정, 메밀음식 등을 볼 수 있다.
폐교된 무이초등학교에 자리한 무이예술관도 빼놓을 수 없는 볼거리이다. 이곳은 회화, 조각, 서예 등 각자의 분야를 가진 예술가들이 모여 만든 예술창작공간이다. 예술관으로 들어서 처음 만나는 공간은 널찍한 야외조각공원이다. 조각가 오상욱이 인간의 복잡한 삶을 표현한 청동 주물상과 테라코타, 부조 등이 이곳에 전시돼 있다.
건물 안쪽에는 사시사철 지지 않는 메밀 꽃밭이 있다. 메밀꽃에 반해 20여 년 동안 메밀꽃을 그려온 화가 정연서씨의 작품이다. 그의 그림은 이곳을 찾은 사람들이 쉽게 발걸음을 돌릴 수 없게 만든다. 화폭에 피어난 메밀꽃들이 실제보다 더 아름답다.
한국자생식물원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다양한 식물과 꽃들을 마음껏 구경할 수 있는 장소다. 식물원은 조경관, 분경관, 생태식물원, 신갈나무숲 등으로 나뉘어져 있다. 야외전시장에는 앵초, 붓꽃 등 우리 꽃이 만발한 동산과 꽃길 등산코스가 마련돼 있다. 깽깽이풀, 얼레지, 양지꽃, 할미꽃, 은방울꽃, 금낭화 등 산과 들에서 늘 보아오던 우리 꽃들을 볼 수 있어 아이들의 자연 학습장으로 좋다.
또한 한국자생식물원 가까이에 자리한 월정사는 신라 선덕여왕 때 지은 고찰로 국보 제48호인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을 비롯해 많은 문화재가 있다.
<경기도 여주> 살랑거리는 강바람이 상쾌하다. 막힘없이 탁 트인 시야도 시원스럽다. 도도하게 흘러가는 남한강이 빚어낸 풍경. 그 속에 사람이 있고, 옹기종기 어깨를 맞댄 텐트가 있다. 강물과 사람, 자연과 사람이 자연스레 하나 되는 곳, 여주 이포보 캠핑장의 풍경이다.
간소한 장비를 이용해 호젓한 캠핑을 즐기고 싶다면 웰빙캠핑장을, 완벽한 장비를 갖춘 캠핑을 원한다면 오토캠핑장을 선택하면 된다.
웰빙캠핑장 보다 외곽에 위치한 오토캠핑장은 그만큼 남한강과 가깝다. 덕분에 풍경도 참 좋다. 낮이면 수면에 닿아 부서지는 은빛 물비늘이, 해질녘이면 서산을 붉게 물들이는 노을이 캠핑장까지 그 빛을 드리운다. 노을이 물러간 뒤 찾아오는 밤하늘의 아름다움도 놓칠 수 없다.
칠흑 같은 밤, 야전침대에 누워 쏟아질 듯 일렁이는 별빛을 감상하는 호사는 이곳 이포보 캠핑장을 찾은 이들에게 주어지는 보너스다.
그중에서도 자전거 도로는 이포보 캠핑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자랑이다. 양평에서 여주를 거쳐 충주까지 이어지는 자전거 도로는 정비가 잘 돼 있어 자전거마니아는 물론 일반인도 부담 없이 라이딩을 즐길 수 있다. 자전거를 준비하지 못했다면 이포대교 앞 천서사거리 부근의 자전거 대여점을 이용하면 된다. 대여점에서 1·2인승 자전거와 전기자전거를 빌릴 수 있다.
이포보 캠핑장을 오가는 길에는 온 가족이 함께 돌아볼 수 있는 볼거리가 많다. 신륵사다층전탑(보물 제226호), 신륵사대장각기비(보물 제230호), 신륵사다층석탑(보물 제225호), 신륵사보제존자석종(보물 제228호) 등을 보유한 신륵사가 첫 번째 볼거리이다. 신라 진평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했다
전해지는 이 사찰은 강변에 자리하고 있다. 신륵사삼층석탑(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3호) 앞 강월헌에서 바라보는 남한강의 모습이 꽤나 아름답다.
여주의 명물인 황포돛배는 신륵사 맞은편 조포나루에서 출발한다. 마포나루, 광나루, 이포나루와 함께 한강 4대 나루로 손꼽히던 조포나루는 조선시대에는 한강을 오르내리는 배들로 북적였다.
조포나루에서 출발해 얼굴바위와 여주대교, 여주군청을 거쳐 다시 조포나루로 돌아오는 황포돛배는 하루 6회 운항한다.
명성황후가 8세까지 생활했던 명성황후 생가는 여주읍 능현리에 위치해 있다. 이곳에는 생가 외에도 명성황후기념관, 감고당, 민가마을 등 볼거리가 많다. 특히 명성황후기념관에선 명성황후의 삶을 돌아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전시물을 만날 수 있다.
그중 명성황후 시해에 사용된 일본도를 복원해 놓은 전시물 앞에서는 마음까지 숙연해 진다. 생가 옆 감고당은 명성황후가 왕비로 간택·책봉되기 전까지 머물렀던 곳이다.
본래 종로구 안국동에 있었으나 1966년 도봉구 쌍문동으로 옮겨졌고, 2006년 쌍문고등학교가 신축공사를 하면서 지금의 자리로 다시 옮겨왔다. 감고당은 인현왕후가 왕비에서 물러난 뒤 복위할 때까지 5년여 동안 거처한 곳이기도 하다.
<자료제공 : 한국관광공사>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