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지선 기자] 여성가족부는 교육과학기술부의 협조를 얻어 '인터넷 이용습관 진단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3월부터 4월까지 초등 4학년 48만, 중등 1학년 63만, 고등 1학년 63만명 총 180만 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 인터넷 과다사용 문제로 위험상태에 있거나 이용에 주의가 필요한 중독위험군은 6만8천44명으로 나타났다.
학년별로 보면 초등 4학년의 경우 1만 9,174명, 중등 1학년의 경우 2만 4,779명, 고등 1학년의 경우 2만 4,091명의 청소년이 인터넷 중독 위험사용군이나 주의사용군에 해당하는 위험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결과를 보면, 2009년 이래 모든 학년별에서 중독위험군 청소년은 대체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4학년은 2010년 대비 인터넷 중독위험군(위험사용군+주의사용군) 1만 4,667명, 중등 1학년은 8,866명 감소했다. 고등 1학년은 2011년 대비 중독위험군이 1만 1,482명 감소하는 등 학령별로 위험사용군, 주의사용군 모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인터넷 이용습관 진단 전수조사 결과에 따라 중독위험군 청소년 중 부모의 사전 동의를 받아 상담·치료 등을 희망하는 청소년에 대해서는 전국의 16개 시도별 인터넷 중독 대응 지역협력망(186개 청소년상담(지원)센터, 179개 치료협력병원 연계)을 통해 상담·치료 등을 지원하게 된다.
인터넷 과다사용 위험 단계별로 일반사용자군과 주의사용군 대상으로는 학교별로 찾아가는 집단상담을 지원하게 된다. 위험사용군은 공존질환 진단 추가 심리검사를 실시해 그 결과에 따라 생활환경요인에 따른 중독의 경우 개별 상담을 실시하고, ADHD·우울증과 같은 정신과적 공존질환에 따른 중독은 협력 의료기관 치료 연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담 치료 서비스를 받은 위험사용군 청소년에 대해서는 서비스 종료 이후에도 청소년 동반자 또는 멘토를 1대 1로 연결해 3~6개월간 인터넷사용 생활습관 점검 및 고충상담 등 사후관리를 지원하게 된다. 여성부 관계자는 "자녀들의 건강한 인터넷 이용을 위해 가정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