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평창은 겨울체험의 메카와 같은 곳이다. 겨울이면 설국으로 변신하는 평창에는 스키장 외에도 가족들의 눈과 몸을 즐겁게 할 야외 체험 공간이 가득하다. 평창은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면서 더욱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그 관심을 채워줄 상징적인 공간들과 체험마을들은 골목 곳곳에 가지런하게 놓여 있다.
겨울 평창여행은 스키점프대를 방문해 동계올림픽의 의미를 다지는 것으로 시작한다. 대관령면 알펜시아에는 동계 올림픽의 상징인 스키점프대가 일반에 공개돼 있다. 눈이 하얗게 쌓인 점프대는 스키점프 선수들의 애환을 다룬 영화 ‘국가대표’의 실제 촬영무대가 된 곳이기도 하다.
좀 더 오붓한 눈체험 공간을 위해 세간에 덜 알려진 차항리 대관령 눈꽃마을로 향한다. 황병산 아래 아름다운 눈꽃과 숲, 계곡을 지닌 이곳 마을은 주민들이 고랭지 감자와 산나물을 채취하고 덕장에서 황태를 말리며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곳이다.
눈꽃마을에서는 겨울이면 봅슬레이 썰매, 전통썰매 타기 등의 체험이 진행된다. 활을 쏘며 수렵하던 황병산의 옛 사냥 민속 체험도 복원해 재현하고 있다.
또한 조용한 눈체험을 즐기려 오대산 월정사로 이동하면 초록과 백색이 어우러져 길의 운치를 더 느끼게 한다. 일주문에서 금강교까지 이어지는 숲길은 최고 300년 수령의 전나무 1700여 그루가 계곡과 함께 나란히 늘어서 있다.
전나무숲길 외에 좀 더 깊숙한 겨울숲 산책을 원하면 국내 최초의 휴양림인 대관령 휴양림의 숲길을 거닐어도 좋다. 가족끼리 숲속의 집 근처 소복소복 눈쌓인 산길을 걷는 코스가 마련돼 있다.
눈 위에서 몸으로 느낀 겨울향연은 뜨뜻한 구들을 경험하는 이색체험으로 연결된다. 장평IC 인근에는 전통 황토구들체험마을이 들어서 있다. 이곳 구들마을은 국내에서 유일한 곳으로 우리 전통의 온돌문화를 계승, 참살이 주거문화를 이어가고자 주민들이 품앗이로 황토구들 사랑채와 전시관을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 또 마을 체험장에서는 구들의 유래와 제작 방법 등을 엿볼 수 있으며 직접 구들 불을 때 보거나 감자를 쪄 먹는 체험도 가능하다.
이 밖에도 평창에는 다양한 체험공간이 널려 있다. 겨울 산행을 제대로 즐기려면 선자령 트레킹에 나서거나 대관령 정상의 옛길을 걷는 것에 도전해도 좋다. 또 횡계 읍내에는 오징어와 삼겹살로 매콤한 맛을 내는 오삼불고기촌이 형성돼 있다. 이 일대 대관령 덕장의 황태를 재료로 한 황태해장국과 황태구이도 별미다.
평창 한우 역시 횡계, 진부 등에 들어선 한우타운에서 저렴하게 구입해 즉석에서 맛볼 수 있다.
<자료제공 : 한국관광공사>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