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소식이 나온 지 사흘 만인 22일 여야 대표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사후 대책 등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황우여 원내대표, 민주통합당 원혜영 공동대표,김진표 원내대표와 만나 "정치권에서 국론 분열 방지를 위해 협조해 줘서 고맙다"고 말했다.
이날 회동에서 정부가 김 위원장의 사망을 뒤늦게 인지한 점, 사망을 전후한 시점에 전용 열차가 이동했는지 여부에 대한 국정원과 국방부의 엇갈린 분석 등 노출된 문제를 의식한 듯 여야 대표는 우려를 표시했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북한의 특성상 어려운 측면이 있겠지만 대화채널을 포함한 대북 정보체계가 강화돼야 한다는 국민의 얘기가 있다. 잘 대책을 세워야 한다"며 우회적으로 대북 정보력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걱정하는 것만큼 우리 정보력이 취약하지 않다"며 한미 간 원활한 정보공유가 이뤄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원혜영 공동대표를 비롯한 야당 측은 외교ㆍ안보라인의 전면 개편이 필요하지 않느냐고 문제 제기한데 대해서, 이 대통령은 정부에 맡겨 달라고 말했다.
조문 문제를 놓고도 이 대통령과 야당의 확연한 입장 차가 노출됐다.
원 공동대표는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를 중심으로 한 조문단 구성 필요성을 거론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민화협을 통한 야당의 조문 요청에 대해 "그 문제는 야당에서 이해를 해달라"며 사실상 거부하고 "이번에 조문을 예외적으로 인정한 것은 답방 기준으로 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투자자국가소송제도(ISD)를 놓고 이 대통령과 야당은 온도차를 보였다.
이 대통령은 "ISD 재협상을 잘 추진해달라"는 원 공동대표의 요청에 대해 "국회가 촉구결의안까지 할 필요가 있느냐. 여야 대표가 이렇게 공고히 하면 되는 만큼 국격을 따져서 신중히 해달라"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신용평가들의 하향 평가 우려를 거론하며 여야가 한목소리를 내달라고 당부하는 동시에 이 같은 위기 요인을 제거하는 방안으로 `내년도 예산안의 여야 합의처리' 필요성을 언급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박 위원장과 50분간 독대를 하고 "올해 서민 공공요금을 올리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황영철 원내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