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4번 국도는 충남 서천 장항읍에서 시작해 부여와 논산, 경북 칠곡, 영천을 지나 경주시 감포읍에 닿는다. 길이는 약 370km. 이 가운데 부여와 서천을 잇는 구간은 유서깊은 백제의 역사 유적을 살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경관도 아름다워 가족 여행 코스로 손색이 없다.
백제의 마지막 왕도였던 부여의 대표적인 여행지로는 부소산성과 백마강, 궁남지, 정림사지 등을 꼽을 수 있는데, 백제 왕실 이야기가 곳곳에 남아 있는 부소산성을 먼저 돌아본 후 가까운 정림사지와 국립부여박물관, 궁남지 등의 차례로 돌아보면 된다.
부여 서쪽을 반달 모양으로 휘감아 흐르는 백마강을 끼고 선 부소산. 이 부소산의 산등성이에 부소산성이 자리한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사비성 또는 소부리성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성왕 16년인 538년, 웅진에서 사비로 도읍을 옮기며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한다.
둘레가 약 2.2km에 달하는 산성은 걷기에 좋다. 해발 106m의 낮은 산인데다 소나무, 왕벛나무, 갈참나무, 상수리나무가 우거진 울창한 숲사이로 산책길이 잘 정비되어 있어 아이들과 노약자도 가벼운 트레킹을 즐길 수 있다.
부소산성의 여행은 사비문을 지나 오른쪽으로 난 길을 따르는 것으로 시작한다. 널찍한 돌을 깐 길을 따라 걸으면 의자왕 때 삼충신인 성충과 흥수, 계백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삼충사가 나온다. 사비문에서 삼충사까지 이르는 길은 소나무가 울창해 산책코스로 손색이 없다.
삼충사를 지나면 백제시대 왕과 귀족들이 계룡산 연천봉에 떠오르는 해를 맞으며 하루를 계획했다는 영일루, 백제시대 곡물을 저장했던 창고인 군창지가 차례로 나타난다. 군창지를 지나면 반월루. 전망 좋은 누각이다.
부여읍내와 구드래 들판, 백마강이 아련하게 내려다 보인다. 반월루에서 낙화암이 가깝다. 낙화암은 부소산성 여행의 하이라이트다. ‘의자왕과 삼천궁녀’의 애틋한 이야기가 전해지는 곳이다. 백제의 삼천궁녀들이 꽃처럼 목숨을 던진 낙화암 바로 앞에는 1929년 세운 정자 백화정이 있다.
백화정에 서면 유유히 흐르는 백마강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소나무 가지 너머로 구드래 나루터에서 고란사까지 운행하는 유람선이 미끄러지듯 강을 거슬러 오르는 풍경이 한 폭의 그림처럼 아름답다.
부여시내에서 부소산성 정문을 통해 성벽을 돌아볼 수도 있지만. 구드레 나루터에서 유람선을 타고 백마강을 거슬려 올라 후문을 통해 고란사 절로 찾아가는 코스도 있다. 나루터 주위에 조각공원이 만들어져 있어 휴식을 취하기에도 좋다. 부소산성 가까이 정림사지 5층석탑이 있다.
백제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국보 제9호. 서기 660년 백제가 나당 연합군에게 패망할 때, 사찰은 전소되었는데 다행히 석탑만은 남았다. 현존하는 석탑 중 가장 오래된 탑이며 익산 미륵사지 석탑과 함께 고대 삼국시대 석탑의 원형을 밝혀주는 문화재로 꼽히고 있다.
정림사 5층석탑은 소정방탑으로 알려져 있는데 비문에 대당평백제비(大唐平百濟碑)가 새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대당나라의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평정했다는 뜻이다.
정림사지를 나와 길을 하나만 건너면 국립부여박물관이다. 백제문화의 진수로 손꼽히는 백제금동대향로를 볼 수 있는 곳이다. 능산리사지에서 발굴된 세기의 보물로 백제 공예품의 절정을 보여준다.
부여를 여행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곳이 궁남지다. 궁남지는 ‘궁 남쪽에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삼국사기>에 ‘궁궐의 남쪽에 20여 리나 되는 긴 수로를 파 물을 끌어들여 연못을 만들고 주위에 버드나무를 심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부여 궁남지 모습>
사적 제135호 .634년 무왕시절 만든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인공연못이라고 한다. 1만 평 정도에 이르는 지금의 궁남지는 1965년에 복원한 것인데, 원래 규모의 3분의 1쯤이라고 한다.
궁남지 한 가운데의 ‘뜬 섬’에는 포룡정(泡龍亭)이라는 현판이 걸린 정자가 있다. 이는 백제 무왕의 어머니가 궁남지에 살던 용이 나타나자 의식을 잃은 뒤 무왕을 잉태하게 되었다는 탄생 설화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뜬 섬으로 이어지는 나무 다리를 건너면 정자로 들어갈 수 있다.
연못 주변으로 능수버들을 비롯해 원추리와 꽃창포, 구절초, 패랭이 등 각종 꽃이 심어져 있다.
부여에서 4번 국도를 따라 서쪽으로 달리면 서천의 울창한 해송 숲 산책을 즐길 수 있는 희리산해송자연휴양림과 모래찜질과 삼림욕을 즐길 수 있는 장항송림산림욕장이 나온다. 희리산해송자연휴양림은 사철 푸른 해송으로 가득한 휴양림이다.
희리산 산책길은 해송들이 뿜어내는 피톤치드와 테라핀 등 방향성 물질로 가슴까지 시원하다. 등산로를 따라 정상에 오르면 서해바다가 한 눈에 들어온다. 야생화관찰원, 버섯재배원, 물놀이장, 농구장, 배구장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40여개의 야영데크와, 20개의 몽골텐트는 물론이고 국립자연휴양림 중 최초로 캠핑카 사용이 가능한 캠핑카야영장도 갖추고 있다. 취사장과 온수가 나오는 샤워장 등 캠핑 관련 시설도 잘 마련되어 있어 하루를 묵어가는 것도 좋다.
모래찜질로 유명한 장항송림산림욕장은 장항읍 송림리의 백사장과 해송숲 일대를 가리킨다. 1km가 넘는 모래사장 뒤편으로 수만 그루의 소나무가 우거진 해송숲이 자리하는데 한여름에도 숲 속에서는 냉기가 느껴질 정도로 시원하다. 숲 속에는 원두막과 들마루벤치 등 휴식시설과 운동시설이 있어 가족, 단체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
장항송림산림욕장은 고려시대 문신 두영철이 유배를 왔다가 모래찜질로 건강을 되찾았다는 고사가 전해지는 곳이다. 지금도 매년 음력 4월 20일이면 ‘모래의 날’이라 해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모래찜질을 한다. 이곳의 모래는 염분. 철분, 우라늄 성분이 풍부해 피로회복은 물론 신경통과 관절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관광공사 :자료제공>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