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송은영 기자] 교육과학기술부는 28일 방과후학교의 프로그램 및 강사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취약계층 지원 확대 및 돌봄기능을 강화하는 ‘방과후학교 내실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2006년 이래 양적으로 팽창한 방과후학교 현황을 전반적으로 진단하고, 문제점․애로요인 등을 보완해 방과후학교의 질적 도약을 이룰 수 있도록 교원과 학부모, 교육청 관계자, 전문가 등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해 마련됐다.
그동안 방과후학교는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주요 학교교육활동의 정착과 취약계층의 학습기회 확대를 통한 교육격차 해소와 더불어 돌봄서비스 제공도 크게 확대됐다. 그러나 여전히 사회변화에 따른 학교의 역할 확대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방과후학교의 정책 취지나 목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부족해 방과후학교를 부가적인 업무로 인식하고 있으며, 방과후학교로 인한 교원의 과중한 업무부담은 방과후학교 활성화에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성과와 문제점을 바탕으로 수립되는 방과후학교 내실화 방안은 학생․학부모의 수요와 선택에 의한 단위학교 자율 운영 원칙을 통해 사교육수요가 가장 많은 학년초, 정규수업과 같이 방과후학교를 시작하도록 방과후학교 연간 운영계획을 3월 이전에 수립할 방침이다.
또한 방과후학교 관련 정보를 가정통신문 위주로 제공하던 것을 학생과 학부모가 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학교 홈페이지의 '방과후학교' 코너에 강좌 정보를 제공하고 학생이 특기․적성과 진로․진학 등을 고려해 방과후학교 강좌를 수강할 수 있도록 일부학교에서만 기록하던 방과후학교 활동내용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도록 했다.
특히 방과후학교 자유수강권의 지원대상 및 지원액을 2013년까지 차상위계층 100%(75만명)까지 월5만원(연60만원)으로 상향조정하고 취약계층에 대한 학습, 진로, 상담 등 종합적 지원방안을 방과후학교 연간 운영계획에 반드시 포함하도록 했다.
강사 확보가 어려운 농산어촌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해 강사료에 교통비를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학생 이동수단 제공 및 아리랑TV, EBSe, IPTV 등과 같은 우수 콘텐츠를 활용한 프로그램 운영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외에도 저소득층 및 맞벌이 가정의 부모가 안심하고 생업에 종사하고,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돌봄 수요가 있는 모든 초등학교에 초등 돌봄교실을 설치․운영하고, 지자체와 연계해 온종일 돌봄교실로 전환을 추진할 예정이다.
2012년 주5일 수업제의 전면 자율 도입에 대비해 토요 돌봄교실과 토요 방과후학교를 확대하여 저소득층 자녀나 맞벌이 부부 자녀들의 토요 돌봄 및 사교육 수요를 흡수할 예정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방과후학교 내실화 방안은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학교공동체의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방과후학교가 더욱 활성화되고 학생과 학부모의 신뢰도와 만족도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방과후학교 내실화 방안은 8월중 시도교육청별 추진계획을 수립해 9월부터 단위학교에 적용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