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강원도의 해안선은 리아스식으로 이루어진 서남해안과 달리 매끈하다. 그래서 자동차 드라이브의 묘미가 덜한 면도 있지만 삼척의 해안이라면 조금 다르다. 초곡, 용화, 장호, 갈남 등 들쑥날쑥 이어지는 해변이 동해안이면서도 거친 파도를 피해 바다를 즐길 수 있고 그 중 으뜸은 장호해변이다.
삼척시 근덕면 장호리는 모래사장과 항구, 갯바위 등이 어우러진 바닷가 마을이다. 육지를 향해 둥글게 파고 들어온 지형을 활용한 천혜의 항구가 일찍부터 발달됐다. 이런 장호리는 다양한 바다체험이 있는 어촌체험마을이다.
이곳에서 가장 이름난 어촌체험은 해양스포츠이다. 해외의 휴양지에서나 즐기는 것이라 여겼던 스노클링은 물론, 투명 카누 타고 바다생태탐험하기, 래프팅보트를 타고 바다래프팅 즐기기, 래프팅보트를 기차처럼 연결한 후 모터보트가 이끌고 다니는 바다기차체험하기 등이 그것이다.
또한 짜릿한 손맛을 누릴 수 있는 바다낚시와 어부의 하루를 체험하는 어업생활체험도 할 수 있다. 이 중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해양스포츠는 투명카누생태탐험이다.투명카누생태탐험은 장호리 연안에서 이루어진다. 카누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해양스포츠로 노 젓는 방법만 알면 아이들끼리 배에 올라도 안전하다.
더불어 이곳에서는 다른 곳에서는 느낄 수 없는 특별함을 누릴 수 있다. 해안 가까이 솟아있는 둔대바위, 거북바위, 외도암, 알개바위, 너른바위, 당두암, 아치암 등 10여개의 큰 바위가 이룬 바다 위의 협곡을 오가는 것. 계곡처럼 빠른 물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은 아니지만 하롱베이의 그것처럼 이곳에서도 물 위로 솟아오른 바위가 만들어낸 풍경이 사뭇 이국적이다. 햇살 따가운 여름, 바위 그늘에서 잠시 햇살을 피해 바다를 즐길 수 있는 것도 이곳의 장점이다.
이런 삼척의 바다와 함께 즐길 수 있는 또 하나의 스포츠가 있다. 장호리와 인접해있는 근덕면 용화리와 궁촌리를 오가는 약 5.4km 길이의 해양레일바이크이다. 바다를 따라 이어지는 기찻길을 달리며 해송 숲과 억새군락지, 초곡 터널 등을 지난다. 중간지점인 초곡에 쉼터를 만들어 바다를 누리게 한 것도 특징이다. 해양레일바이크는 편도로 운영된다. 용화역 또는 궁촌역에서 출발한 역으로 되돌아오는 것은 셔틀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한편 삼척의 내륙을 대표하는 공간은 대금 굴과 환선 굴의 대이리 동굴 지대이다. 2007년 6월에 개방된 대금굴은 ‘황금빛 종유석이 많은 곳’이라는 뜻의 이름이라한다. 이름처럼 동굴 안에는 커튼형 종유석과 지팡이 굵기의 3.5m 종유석, 계단식 논처럼 층을 이룬 휴석소 등 화려한 동굴생성물이 즐비하다.
이런 삼척시에는 새로운 꿈을 꾸는 도계읍 흥전리 도계유리마을이 있다. 석탄광산으로 유명한 이곳에 유리마을이 자리잡게 된 것은 폐석탄때문이다.
폐석탄이 쌓여있는 무게로 인한 지반침하, 빗물로 인한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발열량이 낮아 버려지는 폐석탄 속에는 유리를 만들 수 있는 규사가 75%나 함유되어 있어 이것을 가지고 유리를 만들어 지역주민의 소득을 높이고 폐광석의 소모를 유도해 지역발전에 공헌하고 있다.
이런 유리공방에서는 도계 거주자들을 최우선으로 고용하고 이곳에서 만드는 유리제품은 녹색 또는 검은색 등을 다양하게 생산하고 있는데 이는 폐석탄에서 추출해낸 규사에 철분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이곳에서는 유리공예작가들과 함께 다양한 체험도 할 수 있다. 유리를 불에 달궈 원하는 모양의 장신구 만들기, 컵에 그림을 그려 붙인 후 모래로 깎아내는 세상에 하나뿐인 컵 만들기 등이다. 온 가족의 특별한 여름추억을 만들 수 있는 공간이다.
○ 문의전화
- 삼척시청 관광정책과 033)570-3846
- 장호어촌체험마을 070-4132-1601
- 해양레일바이크(궁촌역) 033)576-0656~7
- 도계유리마을 033)541-6259
<자료제공 : 한국관광공사>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