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백지현 기자] 최근 원자재 시장의 특징은 투기성 자금의 유입, 판매자시장(Seller‘s Market)으로의 재편, 신흥개도국의 원자재 수요 증가로 요약된다. 그간 안정적 변동성을 보이던 원자재 가격은 최근 변동주기가 짧아지고, 진폭이 커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변동이 심해지면서 가격 및 수급의 예측이 어려워짐에 따라 종합적인 원자재 지원대책, 원자재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관계부처 간 정책공조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식경제부, 조달청은 원자재 관리시스템 개편방안을 마련해 15일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발표했다.
우선, 원자재 가격 및 수급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 위해 철광석, 구리 등 총 16개 품목 원자재의 상시경보시스템(WACS)을 도입하고, 원자재 관련 부처간 정보를 공유할 방침이다. 또한 원자재 성수기에 한시적으로 시행 중인 비축물자 할인방출을 제도화해 수급 불안 시 수시로 할인방출하고, 원자재 가격상승과 연계해 방출가격 할인율을 조정할 예정이다.
특히 정책금융공사의 경영안정용 긴급 운전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고유가 등으로 원자재 수입에 애로를 겪는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긴급 경영안정자금으로 1,000억원을 지원한다. 또한 하반기 원자재 수급애로 발생 시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우선 활용하고, 추가소요가 있을 경우 기금 운용계획 변경도 검토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기재부, 지경부, 조달청, 석유공사, 광물공사 등과 공동으로 원자재 협의체를 구성해 동향 점검, 정보공유 및 정책공조를 강화할 방침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동 대책의 향후 추진일정은 예산을 수반하지 않는 사업에 대해서는 즉시 시행하고 예산 수반사업은 예산이 확보되는 대로 시행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