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소방방재청(청장 박연수)에 의하면, 올 10월말 화재발생현황이 과거 3년 평균 대비 16.4% 감소한 3만 3,648건 발생했고, 이로 인한 인명피해는 1,511명(사망 222명, 부상 1,289명)으로 27.1%(562명) 감소하했으며, 재산피해도 21만 3,336백만원으로 2.5%(5,522백만원) 감소했다고 밝혔다.
10월중 화재발생(3,272건)현황 분석 결과를 보면, 장소별로는 비주거가 37.9%로 가장 높은 발생율을 보였고, 주거(28.1%), 차량(15.8%), 임야(2.7%), 철도․선박․항공기(0.21%) 순으로 발생했다.
10월중 하루평균 105.5건의 화재가 발생했고, 5.5명(사망 0.8명, 부상 4.7명)의 인명피해가 있었으며, 815백만원의 재산피해가 매일 발생했다.
발화요인별로는 부주의가 44.1%로 가장 높은 발생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전기적요인(23.14%), 기계적요인(10.5%), 방화 및 방화의심(8.03%), 교통사고(1.6%) 순으로 발생했다.
부주의(1,443건)로 인한 화재발생현황을 살펴보면, 담배꽁초 방치 431건(29.9%), 음식물조리중 279건(19.3%), 쓰레기소각 170건(11.8.%), 불씨․불꽃․화원방치 154건(10.7%), 용접․절단․연마 110건(7.6%), 불장난 94건(6.5%), 가연물근접방치 57건(3.9%), 논․임야태우기 20건(1.4%), 빨래삶기 12건(0.8%), 유류취급중 7건(0.5%)순으로 사소한 부주의로 인해 화재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물중 주거용 건물에서 919건의 화재가 발생해 22명이 사망했고, 비주거용 건물에서 1,240건의 화재가 발생해 4명이 사망해 주거용이 비주거용보다 화재로 인한 사망률이 7.42배나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간대별 사망자를 분석한바 3~5시에 9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3시, 11~13시, 19~21시, 21~23시에 각각 3명, 5~7시, 7~9시, 13~15시, 15~17시, 23~01시에 각각 1명씩 발생했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11월 화재전망과 관련해 화재와의 전쟁 선포 후 화재건수는 물론 인명피해를 대폭 감소시키고 있다”며 “전국의 소방역량을 강화시켜 겨울철 소방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해줄 것과 전 국민의 자율안전의식 제고와 사회안전망 확충에도 노력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