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조시내 기자] 음식물 쓰레기가 단순한 환경 문제만이 아니라 에너지․경제 등 사회적인 종합이슈로 부각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민간단체들의 자발적인 활동도 보폭을 넓혀가고 있다.
‘차릴 때는 먹을 만큼, 먹을 때는 남김없이’ 슬로건으로 낭비없는 음식문화 정착을 다짐하는 ‘음식문화개선 범국민 실천결의대회’가 8일 서울 등 전국 16개 시․도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음식문화개선 범국민운동본부와 한국음식업중앙회 및 동아일보가 공동 주관하고 환경부와 서울특별시가 공동으로 주최하여 광화문 입구 청계광장에서 열렸다.
서울은 광화문 입구 청계광장에서 오전 10시부터 가두 실천서명 운동이 시작되었고, 오후 3시에 개최된 결의대회에서는 친환경 음식문화 조성을 위한 4개 항의 ‘실천결의문’이 채택됐다.
음식업중앙회의 42만 회원과 300만 종사자들을 대표해서 약 1만여명의 음식점 사장님들이 참여해 “소형․복합찬기를 활용한 간소한 상차림 생활화” 등 친환경음식문화 실천을 다짐했다.
≪실천결의문 요지≫
1) 차릴때는 먹을 만큼, 먹을때는 남김없이 먹는 친환경적인 음식문화를 내가 먼저 실천
2) 소형․복합찬기를 활용한 간소한 상차림을 생활화하여 낭비없는 외식 문화 정착
3) 낭비없는 음식문화를 실천하여 경제․사회․환경적 비용절감과 선진 외식문화 정착
4)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운동’이 범국민운동으로 확산되도록 지속적인 실천운동 전개
그리고, 결의대회가 끝난 후에는 약 2천여명이 2개 조로 나뉘어 청계광장에서 부터 광화문 광장과 을지로 입구역까지 가두 캠페인을 벌리면서 국민들의 동참을 호소했다.
한국음식업중앙회 남상만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1년에 18조원이라는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이제 더 이상 지켜볼 수 없다”며 “오늘 결의를 계기로 음식점에서 소형․복합찬기를 활용한 간소한 상차림을 생활화하여 친환경적인 음식문화가 하루빨리 자리 잡을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만의 환경부장관도 축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문제만큼은 국민들 스스로가 줄여나갈 수 있는 선진 문화의식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이번 기회에 반드시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운동이 성공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보완하고 지원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국음식업중앙회는 민간단체 최초로 지난 해 10월부터 ‘남은음식 제로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까지 한식당 3만여 곳이 이 운동에 참여하고 있고, 올해 말까지는 6만개 업소가 참여할 계획으로 있어 앞으로 상당한 성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