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신경화 기자]
그간 부처마다 독립적으로 진행돼온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정책이 3개 부처의 공조체계를 통해 본격적으로 실행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지식경제부·방송통신위원회는 26일 11시 롯데호텔에서 '제1차 범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지난 12월「범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종합계획」발표에 따른 부처별 협력에 기반한 국가적 차원의 통합된 구심점 마련을 위해, 정부를 비롯한 관련 학계 및 산업계 등 총 17명의 위원이 참석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정책협의회 의장으로 임종태 SK텔레콤 네트워크기술원장이 선임됐다. 각 부처별 클라우드 컴퓨팅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을 공유하고 3개 부처 공동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국제 컨퍼런스를 추진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우선, 행정안전부는 공공부문 정보자원 운영 효율성 향상과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정부통합전산센터 통합자원풀 구축(1,290억원), 범정부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시범 구축(3억원), 공공 클라우드서비스 개방(65억원), 표준화(4억원) 등 총 1,362억원을 올해 투자하기로 했다.
지경부는 올해 클라우드 핵심기술 R&D를 통한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동 인프라․플랫폼 기술(77억원) 및 신뢰성 보장기술 개발(12억원), 응용시스템 개발(60억원) 등 총 149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클라우드 서비스 활성화와 신뢰기반 조성 등을 위한 민・관 공동의 클라우드 서비스 테스트베드를 구축(40억원), 법제도・인증・보안체계 구축 등의 생태계 조성(7억원), 플랫폼 통합 IPTV 서비스 시범사업 추진(19억원) 등 총 66억원을 올해 투자하기로 했다.
특히, 올해 하반기 중 3개 부처가 공동 컨퍼런스를 개최해 정부의 정책을 설명하고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해소와 세계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범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정책협의회」를 통해 관련 이슈사항 등을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을 통한 창구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정부와 산․학․연간의 협력모델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