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부(장관 백희영)는 14일 서울여성플라자에서 ‘일과 생활의 조화를 위한 여성정책 실천계획’을 담은 내년도 여성부 업무보고를 실시했다.
이날 업무보고에서 여성부는 ‘일과 생활이 조화롭고 아동·여성이 안전한 사회’를 2010년도 정책목표로 제시하고 성인지 정책 및 여성대표성 제고를 추진기반으로 해 여성 경제활동 증진, 일과 생활의 조화, 아동·여성 인권보호를 실천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보고했다.
여성부는 경제위기 하에서 여성의 고용여건을 개선하고 우리경제의 조기회복을 도모하고자 여성 일자리 확대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의 1차년도 사업을 시행하는 등 정부내 일자리 관련 협의·조정기구를 활용해 정부 지원 일자리 사업에 보다 많은 여성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장애․탈북․결혼이주여성 등 일자리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여성 등을 위한 틈새 일자리도 적극 발굴·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대상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취업지원을 제공한다. 육아․가사로 경력이 단절돼 재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해 상담, 직업교육, 취업연계 및 사후지원까지 원스톱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여성새로일하기센터」를 통해 46,000명의 경력단절 여성에게 일자리를 연계한다.
4,600명 규모의 주부인턴을 통해 직장체험기회를 제공하며 녹색 일자리․유망직종 등 직업훈련을 230개 과정으로 다양화해 연간 5,800명에게 교육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미설치지역 구직여성을 위해 ‘광역형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을 지정하고 온라인 취업 코칭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취업지원 서비스를 확대한다.
진로와 경력관리, 리더십 등 조직 적응역량을 필요로 하는 청년여성을 위해 30개 대학에 여대생커리어개발센터를 지정하고 여성공익포털 ‘위민넷(www.women.go.kr)’을 활용해 온라인 커리어 멘토링 900쌍을 지원한다.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여성인력 활용과 출산율 제고에 기여하고자, 우리 사회가 ‘일 중심’에서 ‘일과 생활을 조화’ 할 수 있는 문화로 변화하도록 여성부가 앞장서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먼저 여성이 일하기 좋은 직장환경 마련을 위해 근로자가 여건에 따라 근무시간과 형태를 조절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도(퍼플잡) 도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내년 초 여성부가 ‘시간제근무 공무원제도’를 시범실시하고 행정안전부 등과 협조해 공공부문으로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직종이나 규모별로 유연근무 모형을 개발하고 인사·노무관리 매뉴얼을 만드는 등 기업에 확산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가정생활에서 여성의 가사․양육부담을 덜어주고자 여성․시민단체와 협력해 가족의 가사․양육참여 캠페인을 전개하고 교사대상 원격연수를 실시하는 등 양성평등교육을 강화해 평등한 생활문화를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최근 아동·여성폭력사건에 따른 사회적 불안감 해소를 위해 사회안전망을 확충하고 예방 및 피해자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에 아동성폭력 방지를 위한 지역안전망 구축을 위해 지자체별「아동 등하교길 안전 도우미」제도를 활성화한다.
‘해바라기아동센터(아동전문 심리치료)’와 ‘원스톱지원센터(24시간 운영, 여경 상주)’의 장점을 결합한 통합기관을 시범 운영해 시너지 효과를 도모하고 폭력피해자 지원시설의 허브 역할 수행을 위해「여성․아동 폭력 피해자 중앙지원센터」를 설치한다.
아울러 해바라기아동센터 자문변호사단 운영을 통해 법률지원을 내실화하고 의료비 지원 상한액 인상 및 피해자 가족에 대한 치료를 지원한다.
성매매피해자 특성별 서비스를 강화해 청소년 성매매피해자 대상 진학 등 종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성매매로의 재유입 방지를 위해 ‘대안학교’ 운영을 지원한다.
이밖에도 이주여성, 장애여성 등이 우리 사회의 주도적 일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성별영향평가제도나 성인지예산제도를 활용해 여성정책 총괄·조정기능을 강화하고 지자체의 여성정책 수준을 높이기 위해 내년 중에 여성친화도시를 10개 지역까지 늘려나갈 계획이다.
특히 국가 주요재정사업에 대한 성인지 예산의 분석 수준을 향상하고 녹색 일자리 사업이나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주요정책에 대한 성별영향평가를 통해 남녀에게 정책이나 시책의 혜택이 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점검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업무보고에서는 내년 11월 개최되는 G20 국가정상회의를 계기로 여성분야에서 우리나라의 국격을 제고하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중점과제를 선정·보고하였다.
먼저 경제력이나 국가신인도에 비해 매우 낮은 국제 성평등지수(GEM, GGI)를 제고하기 위해「국가 성평등지표」를 개발·관리할 예정이다.
여성분야 국제협력 강화를 통해 아시아 이주여성 출신국가 여성능력 개발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등 개발도상국 여성을 위한 공적개발원조(ODA)를 확대하고 여성관련 국제기구 활동을 통해 국제사회의 각종 여성이슈에 대해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한다.
또 미래 준비를 위해 ‘차세대 여성 CEO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등 차세대 여성리더를 육성하고 지역별 여성단체의 참여 확대를 통해 범국민 녹색생활 실천운동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윤슬기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