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방과후학교를 통해서 배움·돌봄·교육 분야 일자리 창출의 기능까지도 확대되어야 함을 인식하고, 기관·단체별로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의 효율화를 위해 제도적인 협력체제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지자체와 교육청이 공동 운영하는「방과후학교지원센터」를 개설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소득층 교육복지 기회 제공이라는 취지 속에서 기관별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중복 추진되고 있으나, 기관 간 협력연계 부족으로 오히려 교육수혜자(학생·학부모)가 희망하는 교육기회를 제공받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드러나, 지역단위 방과후학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행·재정적 관리, 역할 분담, 공동 기획·운영할 수 있는 구심체가 필요하다. 특히 방과후학교의 지방이양 사업에 따른 운영의 자율성 및 재정 자립도 확대를 위해서는 저소득층 교육양극화 및 보육부담 해소에 대한 관심과 지원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 협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방과후학교·지역사회배움터 확대 운영에 따른 저소득층 및 맞벌이 가정 자녀는 언제·어디서든 맞춤형 학습 및 복지 기회를 제공받고 학교 밖 학습장의 안전에 대해 자유롭고 보살핌을 받을 수 있는 교육·보육을 보장하는 통합 지원시스템을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방과후학교센터』는 기초자치단체 내 설치(센터장 : 해당 기초자치단체장)를 권장하며, 지역교육청과 기초자치단체가 상호 협력하여 역할을 분담, 지역단위 방과후학교 발전 전략을 공동 수립 추진토록 하며 이는 지자체·지역교육청·유관기관과의 다원적 네트워크 구축으로 인한 방과후학교의 질적 수준이 제고되어 학생·교원 등 교육공동체의 만족도 상승, 교육·복지 예산절감, 일자리 창출, 운영의 지속성, 효율성 제고 등 기대된다.
김승현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