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19일 비상경제대책회의를 개최하고 4조 9천억원대의 추경을 통해 55만명(연간 기준 28만명)의 새 일자리를 창출하는 일자리 대책을 확정했다.
정부는 우선 일자리 나누기가 확산될 수 있도록 감원대신 휴업․훈련 등을 통해 계속 고용하는 기업에 대해 고용유지지원금을 3070억원 더 확대하기로 했다. 또 경기위축으로 민간 고용창출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감안해 정부 재정 투입을 통한 일자리 창출 사업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초․중고교 학습보조 인턴교사를 신규로 2만 5천명 채용하고d 중소기업이 인턴을 채용할 경우 임금의 최대 70%까지 지원하는 등 청년층 일자리 제공사업을 확대한다. 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에게 한시적으로 일자리를 제공하는 희망근로 프로젝트도 시행한다. 특히, 대졸 미취업자 취업능력 제고를 위한 학내 교육 프로그램(Stay-in-school program)을 새롭게 도입하고 직업상담․훈련․취업알선을 연계 제공하는 패키지형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건설 등 일용근로자에 특화된 직업훈련 프로그램도 신설(10만명) 하고신규․전직 실업자 교육,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협력을 통한 핵심역량 교육 등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실업급여 예산을 대폭 확충하고 중소기업 빈 일자리 취업을 촉진하기 위해 당해 근로자에게 임금의 일부(월 30만원)를 1년간 한시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확정된 4조 9천억원의 일자리 대책 사업이 시행되면 55만명의 직접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일자리 관련 추경 편성과 일자리 나누기의 확산을 통해 청년․저소득 취약계층의 실직 고통을 경감시키고, 고용위기를 조기에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주환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