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자리 창출과 경기 부양을 위해 2월 말까지 60조 원의 재정이 조기 집행됐다.
기획재정부는 12일 이용걸 차관 주재로 제6차 예산집행특별점검단회의를 개최하고 2월까지의 조기집행 실적을 점검했다.
2월말 현재 집행예산은 총 257조7000억원 중 60조원으로 당초 계획했던 46조7000억 원의 128.4%를 집행했다. 연간 예산 집행 진도율은 23.3%로 계획보다 5.1%가 더 집행됐다.
세부 내역별로는 일자리 창출, 민생안정, 금융시장안정, 사회간접자본(SOC)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4대 분야에서 21조8000억원이 집행돼 152.9%의 집행율을 보였다.
특히 금융시장안정에는 2월 말까지 3조8000억원 전액이 모두 집행돼 각 금융기관을 통해 21조8000억원 상당의 추가 신용을 공급했다. 민생안정 부문에는 당초 계획의 118.9%인 5조9000억원이 투입돼 취약계층의 생계와 의료급여 등을 조기에 지원했다.
일자리 창출에는 1조2000억원을 투입해 목표치인 9000억원 대비 137%의 집행률을 보였다. 이를 통해 취약계층 13만4000개 일자리가 유지되거나 창출됐고 67만6000명에게 훈련 및 연수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SOC사업은 총 42조9000억원중 11조원이 집행돼 당초 계획됐던 5조1000억원의 두배를 웃돌았다.
재정부는 또 내수진작 및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올해 중소 기업제품 구매예산의 68.5%인 45조8000억원을 상반기 중으로 집행할 계획이다.
한편 이용걸 차관은 "정부는 추경 예산안을 3월 말 국회에 제출해 4월 국회에서 심의받게 할 것"이라며 "빠르면 5월부터 추경예산이 집행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재정부는 준비중인 추경예산이 국회의결 즉시 집행될 수 있도록 추경집행지침 등을 사전에 마련할 계획이다.
김성일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