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R&D 예산 503억원 투입..전년대비 65% 증가
[시사투데이 = 정인수 기자] 정부가 각종 재난·사고 현장에서 소방관의 대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국방분야에서 검증된 첨단기술을 소방 현장에 적용한다.
정부는 3일 오전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화재·재난 대응을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소방 연구개발(R&D)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현재 소방 R&D 예산은 올해 305억원으로 재난안전 R&D 전체의 1.4% 수준에 불과하다. 국토 전역에 증가하는 재난 위험과 소방수요에 비해 투자규모가 낮아 현장 대응력 강화와 첨단기술 도입의 시급성이 제기돼 왔다.
정부는 내년 소방 R&D 역량과 체계를 근본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3대 방안을 추진한다.
우선 국방분야에서 검증된 첨단기술이 소방 현장에 적용된다. 소방청·국방부·방위사업청이 함께하는 국방-소방 기술협의체를 구성한데 이어 소방 현장에 효과적인 근력강화 슈트, 고중량 드론, 수중 탐색 플랫폼 등 국방 기술 10종에 대한 현장실사를 완료했다.
이 가운데 현장 적용성이 높은 기술은 올해 말까지 검토하고 발전시켜 2027년 본격 과제수행에 돌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소방청은 국방-소방 기술협의체를 통해 재난현장에 필요한 기술 수요를 발굴하고 방위사업청은 적정한 국방기술 검토·매칭을 지원할 계획이다.
소방청의 자체 연구 역량도 강화한다. 정부는 내년 소방 R&D 예산 503억원을 정부안으로 확정하고 기후위기 대응, 친환경 교통수단 사고 대응, 소방시설 화재 적응성 평가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연구과제를 앞당겨 추진한다.
내년 공주에 완공 예정인 국립소방연구원 신청사는 첨단 실증·융합 연구 거점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원 안전장비 성능 검증, 화재 성상연구, 소방산업체 합동 연구가 강화돼 소방관은 보다 안전한 장비를, 기업은 첨단 연구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정부는 드론, 로봇, 센서 등 이미 검증된 첨단 국방기술을 소방 현장에 적극 이전 및 활용하고 소방 연구성과가 산업 수출로 이어져 국가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