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투데이 = 김준 기자]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이 노동자의 건강권을 보장하자며 0시부터 오전 5시까지 배송 제한을 요구하자 '배송 속도전'을 벌여온 이커머스 업계가 난색을 보인다.
29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택배노조는 지난 22일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택배기사 과로 개선을 위해 0시∼오전 5시 초(超)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고 제안했다.
지난달 출범한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에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을 비롯해 국토교통부, 택배 업계와 노동조합,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한다.
택배노조는 회의 내용이 일부 언론을 통해 공개되자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쿠팡과 같은 연속적인 고정 심야 노동은 생체 리듬을 파괴해 수면장애, 심혈관 질환, 암 등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노조는 새벽배송 자체를 전면 금지하자는 것이 아니라 심야배송에 따른 노동자의 과로 등 건강장애를 예방하고, 지속 가능한 배송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최소한의 규제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주간·야간 배송을 오전 5시 출근조와 오후 3시 출근조로 변경해 일자리와 물량 감소가 없도록 하고 오전 5시 출근조가 긴급한 새벽 배송을 할 수 있도록 하자는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이커머스 업계는 "불가능한 주장"이라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새벽배송·당일배송뿐만 아니라 주문한 지 1∼2시간 안에 배송하는 퀵커머스(즉시배송) 전쟁이 불붙은 상황에서 어떻게 심야배송을 중단하느냐는 반응이다.
쿠팡의 경우 로켓배송 물류 인프라 구축을 위해 지난 10년간 6조2천억원을 썼고, 3조원을 추가로 투입하는 중이다.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새벽배송 상품은 밤새 산지에서 전국 거점 물류센터로 수송하고 분류작업을 거쳐 소비자에게는 오전 7시 전에 배송한다. 오전 5시 출근조만 운영해서는 불가능하다"며 "분유와 학용품 등 당장 아침에 필요한 제품도 많다"고 말했다.
이어 "심야배송을 제한하면 소비자가 불편을 겪을 뿐 아니라 물류센터 일자리 수만 개도 사라질 것"이라며 "교통혼잡이 없고 수입이 좋다는 이유 등으로 심야배송을 선호하는 택배기사들도 있다"고 덧붙였다.
시사투데이 / 김준 기자 sisatoday001@daum.net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