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 내년 하반기 중 인공지능(AI) 기반 X-Ray 보안검색 도입

윤용

| 2019-02-20 15:44:12

정일영 인천공항 사장, 인공지능·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공항운영에 선제적 도입···스마트공항 대표되는 미래 공항산업 선점 (자료=인천공항) (자료=인천공항2)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0일 이르면 내년 하반기 중 인천공항에 인공지능(AI)에 기반한 X-Ray 보안검색이 시범 도입될 전망이라며 내년 하반기 시범운영을 목표로 ’인공지능 기반 X-Ray 영상 자동판독시스템‘ 구축사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국내에서 보안검색 등 X-Ray 영상판독에 인공지능을 도입하려는 연구는 진행된 바 있었으나, 인천공항공사처럼 실제 현장운영을 위한 대규모 시스템 구축사업은 이번이 처음이다.

인천공항은 지난해 기준 약 6,000만개에 달하는 출국여객의 모든 기내반입 수하물에 대한 X-Ray 검색을 시행하고 있으며, X-Ray 영상이미지 판독을 통해 국토교통부 고시로 지정된 총포, 도검 등 기내반입금지물품 약 3백만건을 적발했다. 특히 필요 시 휴대품 개장을 통해 항공기 운항 안전성을 높이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 관계자는 "인천공항공사의 시스템 구축으로 ‘AI 기반 X-Ray 영상 자동판독시스템’이 도입되면, 1차적으로 AI가 휴대품 영상이미지를 기초 판독하고, 숙련된 판독요원이 반입금지품 적발 및 휴대품 개장 여부를 종합 판단하게 된다"면서 "이는 보안검색 업무의 정확성과 용이성을 향상시켜 탐지 누락 물품 제로(ZERO)화 및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여객에게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출국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인천공항공사는 내년 하반기 중 시범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토부 고시를 기준으로 공항에서 주로 적발되는 품목 위해물품 20여종, 액체류 시중상품 2만여개를 포함한 60만 건 이상의 영상학습데이터를 바탕으로 딥러닝 기술을 적용해 최적화된 영상판독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AI의 판독 정확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한편, 인천공항공사는 국토부와 함께 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항공보안 분야에 적용하는 ‘인천공항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Smart Security System)’구축을 추진, 그 중 첫 번째 과제로 ‘AI 기반 X-Ray 영상 자동판독시스템’도입을 추진하게 됐다.

아울러 이번 인공지능 보안검색 시스템 구축을 바탕으로, 향후 터널을 통과하기만 해도 보안검색이 완료되는 ‘터널형 보안검색 시스템’을 인천공항에 세계 최초로 도입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이번에 구축 중인 인공지능 기반 X-Ray 검색은 터널형 보안검색시스템의 핵심기술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정일영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공항운영의 핵심인 보안검색 분야에 인공지능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함으로써 항공보안을 강화하고 여객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출국하실 수 있는 환경을 구현할 계획"이라면서 "앞으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공항운영에 선제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스마트공항으로 대표되는 미래 공항산업을 선점해 나가겠다"고 언급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