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따른 부문별 피해 현황 데이터베이스 구축

전해원

| 2016-03-08 10:56:29

'기후변화 피해 유형별 정보 포털' 공개 환경부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환경부와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는 ‘이상 강우에 의한 미래 침수 피해 융합 데이터베이스(이하 융합 DB)'를 구축하고 9일부터 ’기후변화 피해 유형별 정보 포털(ace.kei.re.kr)‘을 통해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융합 DB’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지원하는 국가DB 구축사업을 통해 완성됐다. 총 3차년 사업 중 1차년 사업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부문별 피해 현황과 관련한 기초 정보 총 2,478건 중 1,005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메타) 정보’와 이를 활용한 시범 활용 융합 DB를 담았다.

설명(메타) 정보는 다른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화된 데이터로 대량의 정보 가운데에서 찾고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 이용하기 위해 활용된다. 융합 DB는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해 침수 피해 지역의 시기별(년대별), 지역별 검색과 각 정보 사이의 중첩 활용이 가능하다.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는 2010년부터 2년간 수도권 제조업 관련 지역의 침수 피해 위치와 피해 시점의 3일 동안 누적 강우량을 DB로 구축했다. DB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0년과 2011년 침수 피해가 발생할 당시의 3일 평균 누적 강우량은 89.6mm이었고 최대 136.6mm 기록한 지역도 나타났다. 또한 최소 45.7mm의 강우량에도 침수 피해를 입은 곳도 있었다.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는 온실가스 저감 활동이 없다는 전제 아래 현재 추세로 기후변화가 진행된다면 2100년에는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3일 누적 강우량이 136.6mm를 초과하는 수가 연간 26회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향후 2, 3차년도 사업으로 폭염, 한파, 전염병 등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 유형별 설명(메타) 정보를 순차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정은해 환경부 기후변화협력과장은 “향후 극단적으로 증가하는 기후변화 피해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신기후체제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서는 관련 정보의 융복합이 필수적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