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생식물서 항균효과 우수한 추출물 분리

김태현

| 2015-07-30 01:09:51

기업에 기술이전 통해 치약 등 상용화 제품 출시 예정 뽕나무

시사투데이 김태현 기자] 국립생물자원관이 국내 자생식물로부터 충치와 치주염 원인균에 항균 효과가 우수한 추출물을 분리해 원인균별로 특허출원 2건을 완료하고 기술이전을 통해 상용화 제품을 공동으로 개발한다고 밝혔다.

항균 추출물은 국내 자생식물인 뽕나무(모루스 알바, Morus alba) 뿌리(상백피)와 화살나무(유오니무스 알라투스, Euonymus alatus)의 날개(귀전우)부분에서 분리한 것으로 우리나라 민간요법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었다.

이번 특허출원의 성과는 두 추출물을 일정 농도로 혼합했을 때 충치 원인균(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Streptococcus mutans)과 치주염 원인균(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한 항균효과가 훨씬 높아진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러한 결과를 공동연구자인 동성제약(주)에 국유특허 기술이전을 해 구강위생용 치약 등으로 상품화할 계획이다.

김상배 국립생물자원관 관장은 “올해부터 유용성 분석, 소재화 연구를 강화한 생물자원 산업화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생물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국가생물주권 확립에도 도움이 된다”고 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 상용화 기술이전 외에도 생물자원에 대한 항균, 항염, 항암, 항산화, 항알레르기 등 유용성을 검증을 통해 환경성 질환, 약학, 식품, 의학 등 융·복합 연구에 계속 접목할 계획이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