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해차량 운행제한제도 강화 공청회 개최
이명선
| 2014-12-30 09:53:48
시사투데이 이명선 기자] 환경부가 현재 노후경유차(특정경유차)를 대상으로 시행중인 ‘공해차량 운행제한제도(LEZ, Low Emission Zone)’를 강화하는 내용의 공청회를 30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한다.
이번 공청회는 현재의 ‘운행제한지역 제도’를 강화해 수도권 지역에 운행하는 공해차량(특정경유차)을 2019년까지 전부 저공해로 조치(배출가스 저감장치의 부착 또는 저공해엔진으로의 개조)하거나 조기폐차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공해차량 운행제한지역 제도는 대기오염물질을 다량 배출하는 노후차의 도심지역 진입을 제한하고 진입할 경우 벌금(통행료)을 부과하는 유럽에서 시행중인 보편적인 자동차 배출가스 관리대책이다. 우리나라에서도 2010년부터 수도권 3개 시․도의 조례에 근거해 수도권 지역을 운행하는 특정경유자동차에 대해 이 제도를 적용해 오고 있다.
그러나 저공해 조치 명령에 따른 저공해 조치 비용의 대부분(일반인 90%, 저소득층 95%)을 정부에서 지원해 주고 있어 차량소유자는 운행제한에 따른 의무를 크게 느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저공해 조치 비용의 90%를 지원하는 것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차량소유자의 자기부담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오염원인자의 부담 원칙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정부는 수도권 3개 시·도와 협조해 운행제한 대상이 되는 저공해 조치 명령 차량을 현재 보다 크게 늘리기로 했다. 수도권 지역의 주요 도로변에 의무 위반 차량을 적발하는 단속 시스템을 확충해 단속을 보다 강화하고 위반 차량은 적극적인 행정처분을 해 나갈 것을 주문하고 있다.
이번 공청회는 환경부와 수도권 3개 시․도간에 협약을 체결해 공동으로 수행한 ‘운행제한 지역 운영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조사 연구’에 따라 추진되는 것으로 지난 11월 7일 개최한 1차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해 내년 1월 ‘운행제한지역 운영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