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록원, 친일진상 규명관련 기록 찾아내

박지혜

news25@sisatoday.co.kr | 2006-02-09 12:02:44

- 친일공적,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 일제지배정책 규명에 일익 기대- 3- 음모단검거일람도

행자부 국가기록원장(원장 박찬우)은 최근 일본소재 근현대 한국관련 기록 총 65,000매를 국립공문서관, 외교사료관, 학습원(學習院)대학 등으로부터 입수하였다.

이번에 입수한 기록은 당시 일본 내각총리부 상훈국에서 생산한 서훈 공적기록과 조선총독부 경무국에서 생산한 사상통제를 위한 각종 대형도표 등이 포함되어 있다.

상훈관련 주요 기록으로는

▶ 한국병합기념장 수여에 대한 기록물군

『한국병합기념장재가서(韓國倂合記念章裁可書)』(5권),『同번호록』(제1호~5094호),『同원부』(제1호~35,340호),『同삭제재가서』(1권),『同인명색인』(4권)

▶ 중일전쟁 공적조서 관련 기록물군

『조선국세조사기념장재가서』(1~20권),『同접수인명색인』

『지나사변공적조서(支那事變功績調書),朝鮮總督府』(1~8권),『지나사변공로자공적조서 조선총독부』(1~38권) 등이다.

이 기록 가운데 일본 내각총리부에서 생산한『지나사변공적조서, 조선총독부』기록은 중일전쟁에 공로가 있는 일본인과 조선인들에게 특별 서훈한 기록으로 노무동원, 국가총동원령 관련 징발, 방공훈련, 군인원호, 중일전쟁관련, 군수품 수송, 공출수량 등에 대한 공적 내용이 자세하게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반민족 친일진상규명에 결정적인 증거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록들은 국가기록원에서 입수하여 소장하고 있는 아래의 주요기록과 함께 상훈관련 사안의 완결성을 이루는 기록군이다.

▶「공적자 특별서훈에 관한 건」,「支那사변행상에 의한 서훈자의 진서에 관한 건」(1944)

▶「支那사변행상발령일부후의 정례서훈 취급에 관한 건」(1942)

▶「서훈 구신 이력에 관한 건」,「서위 서훈 발령통지의 건」

또한 조선총독부 경무국에서 생산한 대형도표들은 일제가 조선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을 통제하기 위하여 얼마나 치밀하게 주의를 기울였던가를 알 수 있는 비밀기록들이며 일제시기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상의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귀중한 기록들로서

▶ 국외재주적화선인단체일람도(國外在住赤化鮮人團體一覽圖, 1922)는 모스코바, 치타, 중국, 間島, 연해주와 조선, 일본으로 이어지는 국제 사상단체에 활동하고 있던 조선인들의 계통을 보여주는 기록이며

▶「좌경단체계통일람」은 1927년에 경기도 경찰부 고등경찰과에서 생산된 도표로서 일본과 조선의 사회주의, 공산주의단체에 대하여 주동자와 조직설립경위,활동사항 등에 대하여 자세하게 수록되어 있다. 이 도표는 경기도에서 관할하는 경기도청년연맹 등이 일본과 조선의 어떤 좌경단체와 연관이 되어 있는지를 분석한 기록으로서 지역의 사상통제 상황을 한눈에 알 수 있는 중요한 기록이다.

또한 일제의 종교단체에 대한 감시 기록도 주목된다.

▶「재선(在鮮)기독교각파분포도」(1921년)는 전국을 미국, 호주, 캐나다 계통의 장로교, 감리교 등으로 나누어 각 파 교구 내 인구를 조사하여 관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근세반도년표(近世半島年表)」는 조선총독부 인사과에서 감수한 도표로 1910년 한일병합시기부터 1933년까지 조선총독부의 총독부터 내무국, 식산국 등의 국장, 과장, 재판소, 세관장을 비롯하여 지방청 장관, 학교(경성대학, 전문학교, 사범학교), 이왕직, 군부(조선군사령관, 제19사단, 제20사단, 헌병대사령관) 등의 간부들이 한 장의 도표 속에 수록되어 관리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기록이다.

▶ 이외에도 조선총독부 경무국에서 작성된「과격파예상진로도」,「과격파각지역수령분포도」등은 1919년 3.1운동 직후에 일제가 조선의 독립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치밀하게 조사한 도표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만들어 지휘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증거로서의 귀중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국가기록원은 앞으로 일본 국립공문서관과 외교 사료관에 있는 임면서류, 각종재가서, 폐쇄 기관기록 등을 면밀히 조사 수집하여 조선총독부기록군의 완결성을 갖추고 일제의 지배정책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밝힐 토대를 구축하여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등 필요한 기관 및 연구자, 국민들에게 신속하게 제공할 예정이다.

박지혜 기자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