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제품 안에 들어간 원료 성분별 안전성 등급이 나뭇잎 개수로 표시된다. 나뭇잎이 4개면 '유해 우려가 없음'을 말한다.
환경부는 생활화학제품 76개의 제품 내 원료 안전성 정보를 소비자가 알기 쉽도록 나뭇잎 개수를 4개 등급으로 표시해 12일 초록누리(생활환경안전정보시스템)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나뭇잎 개수 4개는 유해 우려 없음, 3개는 유해 우려 낮음, 2개는 용도·제형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다. 1개는 안전한 원료로 대체하기를 권장한다는 의미다.
제품 안에 들어간 원료 성분별 안전성 등급이 나뭇잎 개수로 표시된다. 나뭇잎이 4개면 유해 우려가 없음을 말한다.
환경부는 생활화학제품 76개의 제품 내 원료 안전성 정보를 소비자가 알기 쉽도록 나뭇잎 개수를 4개 등급으로 표시해 12일 초록누리(생활환경안전정보시스템)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나뭇잎 개수가 4개면 유해 우려가 없다는 것이고 3개는 유해 우려 낮음, 2개는 용도·제형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다. 1개는 안전한 원료로 대체하기를 권장한다는 의미다.
환경부 측은 “제품 내 원료 안전성을 시각적으로 쉽게 전달해 소비자가 많은 물질정보를 비교할 필요 없이 등급 표시만으로 안전성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고 했다.
메디앙스(주), ㈜불스원, 라이온코리아(주), ㈜엘지생활건강 등 15개 기업이 자율적으로 참여해 세정제, 세탁세제, 표백제 등 11개 품목 76개 개별 제품의 원료 성분별 안전성 정보를 공개한다.
자율 안전정보 공개 참여 76개 제품은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안전기준을 준수한 신고증명서 발급이 완료된 제품이다.
이들 제품의 원료 성분 중에서 나뭇잎이 하나인 ‘안전한 원료로 대체 권장’ 등급을 받은 원료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76개 제품에 사용된 원료의 안전성 등급 구성은 나뭇잎 4개 14.7%(90종), 나뭇잎 3개 55.8%(342종), 나뭇잎 2개 19.4%(119종) 그외 등급부여 예정 10.1%(62종)로 나타났다.
박연재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화학제품 자율 안전정보 공개를 통해 소비자는 안전성 정보를 쉽게 인지하고 기업은 제품 원료 정보 제공으로 소비자 신뢰를 강화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