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지연 기자] 4일부터 병원 간 응급환자 전원 지원 조직인 '긴급대응 응급의료상황실'이 운영된다.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최근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인해 병원 간 전원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전원 컨트롤타워인 긴급상황실을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설치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응급실 미수용 사례에 대한 대책으로 수도권·충청권·전라권·경상권에 광역응급의료상황실 4개소를 오는 5월까지 순차적으로 개소할 예정이다.
응급실에서 진료 중인 환자의 전원이 필요한 경우 해당 의료진이 직접 긴급상황실에 지원을 요청하면 긴급상황실에서 환자의 중증도, 해당 병원의 최종치료 가능 여부, 병원 역량 등을 고려해 해당 광역 내에서 전원을 수용할 적정 병원을 선정하게 된다.
병원 전원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른 병원에서 진료가 어려운 응급환자를 긴급상황실로부터 전원 요청을 받아 진료하면 해당 병원에 별도의 인센티브를 부여할 예정이다.
긴급상황실에는 의사인력, 상황요원 등 70여 명의 인원이 24시간 교대 근무한다.
정통령 중수본 비상진료상황실장은 "비상진료 상황에서 응급환자의 병원 간 전원‧조정 기능을 하는 긴급상황실을 통하여 응급환자가 적시에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