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대표, 시민단체 항의 받아 추모탑까지 갔다가 묵념 후 돌아서
[시사투데이 = 박미라 기자]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를 시도했으나 광주 시민사회단체의 거센 항의에 부딪히며 발길을 돌렸다.
장 대표는 이날 오후 1시 35분께 수행원과 함께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 도착했다.
차량에서 내린 그는 지지자들과 함께 참배 공간으로 향하는 입구인 '민주의 문'에 다다랐으나 통행로 바닥에는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3∼4명이 미리 자리를 잡고 앉아 몸으로 출입을 막았다.
이들은 장 대표 일행이 접근하자 경찰의 제지에도 "물러가라", "사죄부터 하라"고 외치며 길을 가로막았다.
장 대표가 모습을 드러내자 이들은 "내란옹호 장동혁", "오월영령 참배할 자격 없다", "광주를 떠나라" 등이 적힌 피켓을 들고 연신 구호를 외쳤다.
경찰은 돌발 상황에 대비해 수십 명의 인력을 배치하고, 시민단체와 장 대표 일행 사이에 인간 띠를 형성했다.
그러나 양측이 밀고 밀리는 과정에서 경미한 몸싸움이 벌어지는 등 현장은 일시적으로 아수라장이 됐다.
혼란 속에서도 장 대표는 항의를 뚫고 천천히 발걸음을 옮겨 추모탑 앞까지 도착했다.
그러나 시민단체의 반발이 계속되자 헌화와 분향은 하지 못했고 잠시 고개를 숙인 뒤 발걸음을 되돌렸다.
일부 시민은 추모탑 앞에 놓인 장 대표 명의 근조화환을 넘어뜨리거나 훼손하기도 했다.
당초 장 대표는 묘역에 안장된 5·18민주화운동 열사들의 묘역도 찾아 개별 참배를 이어갈 계획이었으나 현장 상황이 악화되면서 일정은 전면 취소됐다.
참배를 규탄한 한 단체 관계자는 "민주의 문조차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싶었지만 끝내 참배를 막아내 영령들 앞에 부끄럽지 않을 수 있었다"며 "광주 시민의 뜻을 모아 5·18정신을 훼손하는 정치행위를 용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조국혁신당 광주시당도 이날 보도자료를 내 "장동혁 대표는 내란적 발상을 정당화하고 5·18을 폄훼해온 그릇된 인식을 버리지 않는 한 계엄의 총칼 아래 희생된 영령들이 잠든 묘역에 발을 디딜 자격이 없다"며 "광주시민의 이름으로 방문을 불허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광주시당은 보도자료를 내고 "장 대표는 과격한 청년들의 저지를 뚫고 국립5·18민주묘지 참배단까지 가서 오월영령께 묵념을 가졌다"며 "참배가 무산됐다는 보도는 사실관계와 다르다"고 유감을 표명했다.
시사투데이 / 박미라 기자 4724014@daum.net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