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투데이 = 홍선화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지역주민이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에 직접 투자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재생에너지 주민참여형 이익공유 제도’ 설계에 본격 착수한다.
산업부는 새정부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에너지경제연구원과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한 연구용역 착수회의를 지난 11일 개최했다.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은 경관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지역사회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어 지역주민 수용성이 필요한 대표적 분야다.
태양광 발전의 경우 일부 지역에서 주민참여형 사업이 운영되고 있으나 아직 전국적으로 보급되고 있지는 않다. 풍력 발전의 경우 현재 주민참여형 이익공유 사업이 태양광과 육상풍력 위주로 설계돼 보완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산업부는 연구용역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확산 가능한 태양광·풍력 맞춤형 표준사업 모델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마을주민 소득 증대와 지역경제 활력 회복 등 뚜렷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사례를 면밀히 분석한다. 이를 통해 사업의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지원체계와 장기 사후관리 방안도 함께 검토할 예정이다.
이후 시범사업을 통해 타당성과 효과성을 검증하고 단계적으로 본 사업으로 확대 추진할 방침이다.
성공사례로 평가받는 구양리의 관계자는 “태양광이 기존에는 외지인들이 들어와 돈을 많이 벌어갔고 전자파가 해롭다는 얘기도 많았다"며 "마을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사업을 하면서부터 수익이 나기 시작했다. 수익금은 복지사업에 사용하고 있어 마을 화합의 계기가 됐다”고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제도가 잘 안착되면 전국적인 확산을 통해 재생에너지의 주력 전원화를 앞당기고 농어촌 지역의 경제활력 회복에 기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