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가 "장기전망 여전히 긍정적…美금리인하가 유동성 랠리 지지"
[시사투데이 = 이윤재 기자] 끝 간 데 없이 치솟던 국제 금(金)시세가 간밤 12년여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하면서 향후 가격 흐름이 어떻게 흘러갈지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간밤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전장보다 5.7% 내린 온스당 4천109.1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온스당 4천371달러로 거래를 개시한 금 선물은 장중 한때 4천393.6달러까지 치솟았으나, 이후 급락하는 흐름을 보였다.
금과 함께 올해 수익률 최상위권에 위치했던 은(銀)도 급락을 면치 못했다. 12월 인도분 은 선물은 전장보다 7.2% 내린 온스당 47.7달러에 장을 마쳤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다우존스 마켓데이터에 따르면 금이 단일 거래일에 5% 이상 하락한 것은 2013년 6월 이후 처음"이라고 짚었다.
그는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안전자산 매도세의 원인을 미국과 중국의 새로운 무역협정에 대한 낙관론으로 분석했다"면서 "미국이 월요일 호주와 희토류 무역협정을 체결한 이후 기대감이 확산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다만, 금시세 상승세가 꺾였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 시각이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일부 급등한 자산을 중심으로 차익실현이 나타나고 있음은 일단 경계해야 할 필요가 있지만, 금과 은에 대한 장기 전망은 여전히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하에 따른 실질금리 하락, 다양한 불확실성 리스크, 화폐가치 하락에 대비한 투자전략으로 지칭되는 '디베이스먼트 트레이드', 중국을 위시한 중앙은행의 금 수요 확대 등이 장기 금 가격 랠리를 지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사투데이 / 이윤재 기자 sisa_leeyj@naver.com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