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 박미라 기자] 노인 일자리 대기자가 20만 명을 훌쩍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하고 싶어 하는 노인들이 계속 늘어가기 때문이다.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받은 '최근 5년간 노인 일자리 현황'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노인 일자리 대기자는 22만8천543명이다.
노인 일자리 대기자는 2020년 8만6천46명, 2021∼2024년엔 10만 명대 초반(각 연말 기준)을 기록했는데, 올해 들어 작년 말(12만5천712명) 대비 2배 가까이 급증했다.
노인 인구가 늘고 일자리 수요자도 늘면서 노인 일자리 참여자가 2020년 73만7천708명에서 올해 8월 99만7천233명으로 꾸준히 늘었지만, 신청자가 더 빠르게 늘어난 탓이다.
노인 일자리 신청자는 2020년 82만3천754명에서 올해 8월 122만5천776명으로, 40만 명(48.8%) 증가했다.
노인 일자리는 공익활동, 역량활용, 공동체사업단 등으로 유형이 나뉘는데 유형별 참여자 평균 연령은 8월 기준 각각 77.4세, 70.8세, 71.4세다.
최고령 참여자는 공익활동 115세, 역량활용 98세, 공동체사업단 101세로, 노인 일자리 최고령 참여자 연령이 115세를 넘긴 건 올해가 처음이라고 의원실은 전했다.
남인순 의원은 "우리나라가 노인 빈곤국 오명을 벗지 못하는 상황에서 노인 일자리 수요가 갈수록 늘고 있는 만큼 충분한 일자리를 제공해 보충적 소득과 사회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사투데이 / 박미라 기자 4724014@daum.net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