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채우고 삶의 방향 생각"..인문문화축제 첫 개최
이지연
| 2024-09-11 09:46:30
[시사투데이 이지연 기자] 문화와 예술적 경험을 통해 우리에게 필요한 삶의 방향을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오는 20일부터 22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 아르코꿈밭극장 등에서 ‘시대가 묻고 인문이 답하다’를 주제로 ‘제1회 인문문화축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축제는 ▴초연결의 시대, 고독·단절은 왜 심화되는가(우리의 안녕), ▴풍요로운 시대, 우리의 마음은 풍요로운가(마음 채우기), ▴진정 원하는 삶의 방향으로 가고 있는가(삶의 나침반)라는 3가지 소주제를 중심으로 주제별 특색에 맞는 인문 강연과 공연, 전시 등을 진행한다.
축제의 시작인 20일 오후 2시에는 국립중앙박물관 거울못 남측광장 앞 주무대에서 멜랑콜리 댄스컴퍼니의 공연 <초인>으로 알린다. <초인>은 철학자 니체가 언급한 ‘초인(Übermensch)’을 현대인의 삶에 빗대어 무용으로 표현한 공연으로 불안과 고뇌가 가득한 현실을 극복하려는 현대인의 의지를 담고 있다.
▴오은 시인의 ‘내가 만드는 풍요’, ▴이슬아 작가의 ‘사랑과 글쓰기’, ▴정재찬 교수의 ‘우리가 인생이라 부르는 것들-배움에 관하여’, ▴정호승 시인의 ‘노래가 있는 정호승의 시 이야기’, ▴유기쁨 작가의 ‘일상에서 만나는 생태학: 생명세계에서 살아가는 삼각’, ▴고명환 개그맨의 ‘후회 없는 인생을 위한 한 가지를 고른다면?’ 등의 강연도 이어진다.
21일에는 ▴강창래 작가의 ‘초연결의 시대 진정한 연결, 즐겁고 행복한 글쓰기’, ▴나민애 교수의 ‘책이 깃든 삶, 나를 위한 삶’, ▴문정희 시인(국립한국문학관장)의 ‘나를 만날 수 있는 것은 나뿐인가’, ▴이지현 널 위한 문화예술 대표의 ‘소통하는 미술의 힘: 인간사 저변의 변화를 이끄는 동력’, ▴장강명 소설가의 ‘스낵 정보의 시대’ 등의 강연이 열린다. 권수영 교수와 김중혁 작가, 박상미 교수, 송길영 작가는 ‘지금 새로워진 우리, 안녕하신가요’라는 주제로 토론을 진행한다.
22일은 ▴고영직 평론가의 ‘우리에게는 ‘서로’가 필요하다’, ▴온라인 독서모임 플랫폼 ‘그믐’ 김새섬 대표의 ‘나를 살린 함께 읽기’, ▴김용택 시인의 ‘자연이 말해주는 것을 받아쓰다’ 등의 강연을 만나볼 수 있다.
축제의 마지막은 신영준 예술감독이 연출한 공연 <부엔 카미노(Buen Camino)>로 장식한다. ‘부엔 카미노’는 스페인어로 ‘좋은 길’을 의미하며 누군가를 만나고 헤어질 때 자주 사용되는 인사말이다. 이 작품은 코로나19 시기에 산티아고 순례길을 떠났던 신영준 안무가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바탕으로 존재의 무게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한 깊은 성찰을 풀어내며 현대인들에게 휴식과 성찰의 필요성을 전한다.
이번 축제에서는 예술과 함께 쉽고 재미있게 인문적인 경험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체험행사도 마련했다.
박찬영 첼로 연주자와 조홍신 피아노 연주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출신 청년브라스밴드가 다채로운 음악 공연을 선사하고 이치훈 케렌시아 대표는 ‘명상 수업’을 선보인다.
어린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인문을 경험하도록 ‘나만의 일기장 만들기(커스텀 북바인딩)’, ‘팝아트 인문학’ 등을 진행하는 ‘어린이 인문관’도 운영한다.
축제에는 민간 공익재단도 참여한다. ▴대우재단은 ‘칸초니에레: 페트라르카의 사랑과 삶의 노래’와 ‘과학기술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아모레퍼시픽재단은 '인공지능(AI)과 인류의 미래'라는 주제로 ‘장원(粧源) 특강’을 개최하고 '우주리뷰상 서평공모전'을 후원한다.
문체부 유인촌 장관은 "이번 인문문화축제는 인문학적 성찰과 지혜를 통해 우리가 마주한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답을 모색해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