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서예 진흥과 제주어 보전에 일획 그어

이윤지

| 2024-03-29 08:30:05

제주특별자치도 한글서예초대작가회 한섬 양춘희 회장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40여 년간 한글서예에 정진하며 ‘바른글(궁체 정자), 흘린글(궁체 흘림), 반흘린글(궁체 반흘림), 나름글(민체), 손멋글(캘리그래피)’ 등의 서체를 두루 섭렵했다. 묵향과 붓을 벗 삼아 지내온 세월만큼이나 유려하면서도 강건한 필법을 구현하고,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으로 꽃 피운 작품세계가 돋보인다.

그 농축된 기량 위에서 한글의 아름다움을 ‘보고 느끼는 서예술’로 승화시키며, ‘한글서예 발전과 제주어의 보전’에 앞장선 이가 있다. ‘대한민국미술대전 서예부문 초대작가 12명’으로 구성된 ‘제주특별자치도 한글서예초대작가회(이하 한초회)’를 이끄는 ‘한섬 양춘희 회장(갤러리 가온누리 관장)’이 그 주인공이다.

제주에서 나고 자란 양 회장은 1986년부터 ‘일란 박계봉 선생’을 사사하며 한글서예의 길로 들어섰다. 이후 2000년부터 ‘한곬 현병찬 선생’에게 사사받으며 ‘바른글·흘린글·​반흘린글·​나름글·​손멋글 쓰기’ 등의 필력을 기르고, ‘글씨처럼 인품도 올곧은 한글서예가’로 성장했다. 즉 ‘서여기인(書如基人, 글씨는 그 사람과 같다)’의 가르침대로 서법연마와 인격도야에 꾸준히 힘썼다.


아울러 제주한글서예의 명맥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며, 2006년 ‘대한민국미술대전 서예부문 우수상’을 수상 후 ‘대한민국미술대전 초대작가’로 열심히 활동하여 중앙서단 중견작가의 반열에 올랐다. 대한민국미술대전 서예부문의 우수상 수상은 제주에서 ‘한곬 현병찬 선생(1992년 대상 수상자)’에 이어 ‘한섬 양춘희 회장’이 두 번째라고 한다.

그리고 양 회장은 ▲여성서예가 9인 초대전 ‘섬섬옥수’展(2016) ▲4·​3 70주년 특별전 ‘새겨진 기억’展(2018, 캘리그래퍼 7인 초대전) ▲개인전 ‘한글문자에 옷을 입히다(2020, 한섬 양춘희 서예전)’ ▲한초회 회원전 ‘외솔 최현배 선생의 나라사랑 정신전(2022)’ ▲광주·제주 교류전 ‘제주자연을 ᄃᆞᆷ쑥​ 적실 먹빛 모음전(2023)’ ▲3·​​1절 105주년 기념 ‘1919 삼일만세 세계로 미래로’ 단체전(2024) 등 300여회의 전시 활동을 펼쳤다.


특히 2022년(세종대왕 탄신 625돌과 훈민정음 반포 576돌) 한글날에는 컴퓨터용 폰트(글꼴·​​서체)로 제작한 ‘한섬 양춘희 글씨’를 발표했다. 이는 ‘흘린글 기본자 2,350자와 자음·​​모음 93자, 특수문자 296자, 추가문자 254자에 제주어 표기용 추가글자 139자 및 옛글자 248자 등까지 총 3,380자의 글자’를 양 회장이 직접 육필로 쓴 작품이기도 하다. 더불어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배포해 큰 울림을 선사했다.

이런 그녀는 작품 활동뿐만 아니라 ▲한글서예, 캘리그래피 지도(제주지역 문화센터와 학교·​​기관·​​단체 출강, 청소년·​​일반인 서예교육, 서예인 강습) ▲학술 발표(‘한글 글꼴의 변천과정’, ‘제주민요 보존 및 전승의 필요성’ 발표) ▲시인 등단(2015) ▲서예체험프로그램 진행(제주목 관아 서예체험프로그램 및 과거시험 재현행사 진행) ▲국제교류전 주관 등으로 ‘소중한 제주말씨와 문화유산 보전, 아름다운 제주풍광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일’에도 발 벗고 나섰다.

또한 ‘한글서예묵연회 회장’, ‘제주특별자치도 서예문인화총연합회 공동회장’, ‘(사)세종한글서예큰뜻모임 부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사)제주도한글서예사랑모임 부이사장 ▲한초회 회장 ▲갤러리 가온누리 관장 등으로 활동 중이다.

그러면서 ‘한글발전 및 보급 공로 표창(제주특별도지사)’, ‘제주시 평생학습도시조성 활성화 공로 표창’, ‘한국예술문화원 초대작가상’, ‘제주도 서예문인화총연합회 제주작가상’, ‘(사)한국서도협회 제주도지회 백파상(초대작가상)’ 등을 수상했으며, 양춘희 회장의 민체 작품 ‘나그네(박목월 詩)’가 고등학교 미술교과서에도 수록됐다.

한섬 양춘희 회장은 “두 분 스승님(박계봉·​​현병찬 선생)의 헌신적인 가르침 덕분에 한 눈 팔지 않고 한글서예의 길을 묵묵히 걸어왔다. 너무 감사하고 황송할 따름”이라며 “제주한글서예의 맥을 잇고, 후진양성으로 뿌리를 튼튼히 하며, ‘아름다운 내 고향, 사랑하는 제주’에 한글문화의 꽃을 활짝 피우기 위한 밑거름이 되겠다”고 밝혔다.

나아가 “올해 칠순을 맞이해 ‘탐라정신전’을 준비하고 있다. 서예의 근본과 전통을 지키며, 새로운 시도로 조형적·​​실험적인 작품도 계속 선보일 계획이다. 언제나 붓을 놓지 않고, ‘한글 서예술’의 무한한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며 “한글서예 진흥과 제주어의 보존·​​전승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 다양한 장르와 협업 및 국제 교류를 활발히 추진하며, 지역사회와 우리나라의 문화예술이 풍성해지는 활동에 매진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 한글서예초대작가회 양춘희 회장은 한글서예 진흥과 제주어의 보전에 헌신하고, 컴퓨터용 폰트(한섬 양춘희 글씨) 제작·​​보급 및 제주서예문화의 위상제고를 이끌면서, 후진 양성과 애향심 고취 선도에 기여한 공로로 ‘2024 올해의 신한국인 대상(시사투데이 주최·​​주관)’을 수상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