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이력제 생산·유통·가공 전과정⟶'생산정보' 공개로

정미라

| 2021-12-28 13:13:15

이력마크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소비자가 수산물을 구입할 때 국내산인지, 어느 지역 제품인지 알기 쉽도록 생산정보 위주로 단순화 돼 공개된다.

해양수산부는 ‘수산물 이력제’를 소비자가 수산물을 구입할 때 가장 중요하게 확인하는 정보를 ‘생산 정보’ 위주로 재편한다고 28일 밝혔다.

‘수산물 이력제’는 생산자, 중도매인, 수산물 유통·가공·판매업체 등이 수산물의 생산부터 유통·가공·판매 정보를 ‘수산물 이력정보시스템’에 등록하면 최종 소비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그동안 ​유통업계와 판매업계는 ​생산부터 판매에 이르기까지 모든 유통단계 정보를 입력해 공개해야 하기 때문에 거래처, 거래금액 등 영업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 수산물 이력제 참여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먹거리 안전’, ‘건강’ 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소비자들은 수산물 구매 시 ‘국내산인지 여부’와 ‘어느 지역에서 조업한 제품’인지에 관한 정보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산물 이력 공개 정보를 단수화할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번 방안은 수산물 이력제로 공개하는 정보를 ‘생산이력’ 중심으로 단순화하고 생산이력을 산지위판장에서 입력하도록 간편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먼저 해수부는 이력 공개 정보를 ‘생산·유통 과정에 대한 모든 정보’에서 소비자가 필수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생산 정보’ 위주로 대폭 간소화 한다.

구체적으로는 원활한 이력 표시가 가능하도록 이력마크 부착 표시 방법, 생산자·위판장소·위판날짜 등 필수 표기 정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트 등 최종 판매처에 제공해 소비자에게 필수 정보인 생산정보만 공개할 수 있게 했다. 다만, 최종판매처가 자율적으로 추가적인 정보를 공개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식품 사고가 발생할 경우 신속한 추적과 회수를 위해 생산·유통·가공 등 전반적인 이력 정보는 현행과 동일하게 시스템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아울러 우리나라 연근해 수산물의 82%가 전국 211개 산지 위판장에서 대량 거래되고 있는 특성을 감안해 위판장에서 운영 중인 ‘위판정보시스템’과 해수부에서 운영 중인 ‘수산물 이력정보 시스템’을 연계해 생산자, 위판장소, 위판날짜 등 위반정보를 생산 이력 정보로 관리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개별 어업인이 생산정보를 직접 ‘수산물 이력정보 시스템’에 입력할 필요가 없어져 생산자의 정보 관리 부담은 완화하면서 연근해 수산물 위판 물량인 약 77만 톤의 생산 정보를 수산물 이력제로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으로 해수부는 기대했다.

김재철 해수부 수산정책관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출 결정으로 인한 수산물 안전 우려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국내산 수산물에 대한 정확한 생산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