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조난 어선원 구조 신속히..조난위치발신장치 시범운영

이윤지

| 2021-12-22 11:32:16

어선원 조난위치발신장치 운영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해양수산부는 어선 충돌, 전복 등으로 조난된 어선원을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바다 내비게이션(e-Navigation) 체계를 활용한 어선원 조난위치발신장치시범운영을 22일 개시한다.

그간 어선사고가 발생하면 어선에 설치된 초단파 무선설비(VHF-DSC)와 같은 위치발신장치를 통해 어선 위치는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어선원이 해상으로 추락하거나 탈출한 경우 어선원의 위치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 수색과 구조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해수부는 착용이 편리하고 조난 시에도 위치발신이 가능하도록 손목시계, 목걸이 등의 형태로 어선원 조난위치발신장치를 개발했다.

이 장치를 연근해어선 7척에 설치하고 바다 내비게이션(e-Navigation) 선박단말기에 연계하면 연안에서 최대 100km 해상까지 어선원의 조난위치를 24시간 실시간으로 어선안전조업관리시스템(FIS)에서 탐지할 수 있다.

향후 1년간 시범운영을 통해 어선원 조난위치발신장치의 통신거리, 기상상황별 조난신호 수신율, LTE-M 통신망과의 연계 안정성 등을 점검해 전면 확대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홍순배 해수부 첨단해양교통관리팀장은 “바다 내비게이션 체계를 활용한 어선원 조난위치발신장치가 본격적으로 운영되면 해상에 추락한 어선원 위치를 육상에서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