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과기정통부, "약물 성범죄, 대형 산불 등 과학기술 활용해 긴급대응"
박미라
| 2019-05-23 10:17:16
[시사투데이 박미라 기자] 버닝썬 사태로 사회적 문제가 된 약물 성범죄 사전 예방, 대형 산불 확산예측 등 최근 불거진 문제들에 대한 긴급대응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사업’ 4개 과제를 공고하면서 올해 28억원을 투입해 예기치 못한 다양한 재난과 안전 문제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착수한다.
최근 약물을 이용한 성범죄가 늘고 있지만 일반 국민들은 주류, 음료 등에 성범죄 약물이 포함됐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국내기술을 활용해 높은 정확도와 낮은 단가의 휴대용 탐지 키트를 개발해 경찰청 주관하에 일반 국민들도 탐지 키트를 구입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겨울고온, 건조일수 증가 등으로 산불 발생 건수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대형 산불 대응을 위해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나 풍향, 풍속 등 실시간 기상정보 반영이 어려운 상황이다. 산불현장의 실시간 기상정보를 반영할 수 있도록 기존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산불 현장담당자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상황정보전파 서비스를 개발한다. 개발된 기술은 산림청을 통해 산불현장에 적용될 계획이다.
터널 사고는 공간의 밀폐성으로 인해 외부 사고보다 피해정도가 크다. 특히 지자체가 관리하는 터널은 사고감지시스템 미비로 사고발생 시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터널 내 돌발사고 감지 기술과 위험 상황의 신속한 전파 기술을 개발하고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현장 실증할 계획이다.
KTX 탈선, 고양 저유소 화재 등 사회재난 발생도 빈발하고 있다. 행안부는 지역의 사회재난 환경을 관리할 수 있는 긴급연구를 수행해 재난현장 중심의 새로운 사회재난 관리체계를 개발해 도입할 계획이다.
이정렬 행안부 재난협력정책관은 “긴급대응연구는 시급한 재난·사고를 해결하기 위해 기획된 만큼 지역 현장의 현안과제를 선정하고 중앙과 지방이 협력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