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금감원, 노령층·다문화·탈북민 등 금융취약계층 금융교육 대폭 확대
이해옥
| 2017-04-12 10:15:40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금융이해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노령층, 다문화, 탈북민, 저소득층 등 금융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신종 금융사기 피해가 지속되고 있다.
지난해 금융감독원에 보이스피싱 피해현황에 따르면, 피해건수는 4만5,748건, 피해금액은 1,919억원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을 비롯해 생활의 최접점인 읍·면·동 단위의 드러나지 않은 취약계층에 대한 금융교육 수요가 아직도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행정자치부, 금융감독원, 서민금융진흥원, 은행연합회, 생명보험협회, 새마을금고 6개 기관은 1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취약계층을 적극 발굴하고 지역금융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관계기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6개 기관은 지역 금융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같이 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해 금융취약계층에 대한 금융교육을 활성화하는데 공동 협력하기로 했다. 지자체 교육수요 발굴, 금융교육을 위한 강사, 프로그램을 적극 지원하는데 관계기관이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새마을금고를 통해 인구과소지역민과 오지지역 학생층에 대한 ‘1사1교 금융교육’도 적극 지원하고 금융사기 예방을 위한 교육과 관련 자치기준 마련 등을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했다.
이번에 시행되는 지역단위 금융교육은 다문화, 저소득층, 노령층, 탈북민 등 상대적 금융취약계층과 인구과소지역민의 금융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행자부는 지자체와 함께 읍·면·동 구석구석까지 지역 특성에 맞는 취약계층별 금융교육 잠재수요를 세밀하게 발굴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 서민금융진흥원, 전국은행연합회, 생명보험협회는 각 기관의 지역본부를 통해 금융교육 강사, 교재, 프로그램 등을 지원한다.
김성렬 행자부 차관은 “금융교육에서 소외된 계층과 인구과소지역, 그리고 지역경제 자립기반을 강화하는 공동체사업에 대한 금융교육을 행자부 차원에서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