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사고 ‘캐리스 앱(CARIS App)’으로 사고대응 시간 단축
김애영
| 2016-12-15 10:34:31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은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캐리스 앱(CARIS App, 사고상황 공유 앱)을 올해 3월 도입해 화학사고 대응 정보 제공 시간을 종전 평균 20분에서 13분으로 단축했다고 밝혔다.
‘캐리스 앱’은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CARIS)’을 기반으로 화학물질안전원이 개발한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이다. 1만 8천여종의 화학물질 물성·방재정보, 약 13만 6천곳의 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정보, 방재업체 현황 등을 포함하고 있다. 화학사고 대응 기관 직원 사이에 채팅을 통한 사고상황 공유를 비롯해 사진, 동영상, 화학물질 특성 정보 등과 같은 자료의 송·수신 기능을 갖추고 있다.
‘캐리스 앱’은 문자나 팩스(Fax) 등으로 사고대응 정보를 단방향으로 전달받는 기존의 문제점을 탈피해 사고대응 직원 간의 양방향 정보 제공과 공유 기능을 갖추고 있어 사고대응과 수습체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화학사고가 발생할 경우 전국의 권역별 사고 대응직원이 현장에 도착해 방재, 구조 등 초동조치에 착수하는 골든타임은 통상 30분이며 이 시간이 단축될수록 사고대응이 원활하게 이뤄진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이 앱을 소방서, 경찰서, 군(화생방) 등 600여개 화학사고 대응 유관기관 직원 2천여명에게 배포했다.
김균 화학물질안전원장은 “화학사고 현장의 신속·정확한 정보의 공유와 제공을 위해 ‘캐리스 앱’을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며 “유관기관 간 협업을 강화해 화학사고의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