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졸음쉼터 진출입로 가속·감속차로 보완

홍선화

| 2016-09-08 12:06:16

졸음쉼터 개선 예시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고속도로 졸음쉼터가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바뀐다. 국토교통부와 국민권익위원회는 고속도로 졸음쉼터 안전시설 보완, 편의시설 확충 등의 내용을 담은 ‘고속도로 졸음쉼터 이용자 안전 및 편의 제고방안’을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다.

2011년부터 고속도로에서 졸음운전 사고 예방을 위해 설치된 졸음쉼터는 올해 8월 말 기준 206개소가 설치돼 있다. 졸음쉼터 설치와 함께 졸음운전 예방캠페인을 병행 실시한 영향으로 졸음쉼터 설치구간의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설치 전에 비해 55% 감소했다.

또한 93.1%의 이용자들이 ‘만족한다’고 답변해 좋은 성과를 거두어 왔다. 그러나 졸음쉼터 이용자들은 화장실, 조명,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등의 안전·편의시설 확충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고 졸음쉼터 내 교통사고도 매년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국토부와 권익위는 진·출입로의 짧은 가속·감속차로를 확대하고 곡선과 경사로 구간 등을 고려해 보다 안전한 구간에 졸음쉼터를 배치하고 나들목(IC), 휴게소 등과 졸음쉼터 간 이격거리 기준을 새롭게 마련한다.

졸음쉼터 내에는 졸음쉼터 주차차량 보호시설, 조명,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비상벨 등도 확충하기로 했다. 이용객들이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졸음쉼터 내부에 졸음쉼터 명칭과 위치를 표시하는 등 안내체계도 보완한다. 현재 고속도로 졸음쉼터 206곳 중 116곳에 화장실이 설치 운영 중으로 화장실, 파고라 등을 연차별로 확충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올해 말까지 졸음쉼터 설치기준을 마련해 안전시설,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비상벨, 가로등, 화장실 등을 조속히 보완하기로 했다. 또한 설치기준 마련 이전이라도 시설 현황을 점검해 이미 설치된 안전시설이 파손됐거나 최소한의 시설이 미비한 곳에 대해서는 올해부터 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졸음쉼터가 교통사고 예방에 더욱 기여할 수 있도록 졸음쉼터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지나치게 협소한 곳은 부지를 확장해 국민들의 불편을 줄여 나가겠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