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초소형 전기차 개발 박차

정미라

| 2015-06-15 10:10:38

사회적 약자 위한 맞춤형 차량 개발 가능 4륜 초소형 전기차 개발 디자인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빠르게 다가오는 거대 도시화, 친환경 자동차 시장 확대 등 미래 교통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초소형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4륜 초소형 전기차 개발을 착수했고 이를 통해 도출된 디자인은 현재 의장등록이 완료된 상태로 2017년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아울러 중소·중견기업에게 보다 다양한 초소형 전기차 개발 기회의 제공 필요성에 따라 올해는 3륜 초소형 전기차 개발도 시작해 다양한 형태의 한국형 초소형 전기차가 2017년 개발을 완료하고 상용화될 것으로 보인다.

초소형 전기차는 엔진기반 차량 대비 1천만 원 이하의 가격으로 근거리 이동수단에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해 장애인, 여성, 노인 등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맞춤형 차량 개발이 가능하다. 현재 이동취약자를 위한 전동휠체어와 전동스쿠터는 차실이 없어 궂은 날씨에 매우 취약하며 별도의 차로가 정의돼 있지 않아 일반차량과 함께 위험한 주행을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외에도 전기차 보급의 문제점인 전기차 충전소 구축에도 보다 자유로워 저용량 배터리, 홈 충전 방식으로 적용 가능해 친환경차 보급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초소형 전기차의 선진 개발국인 유럽과 일본은 법적 준비를 마치고 실제 도로에서 운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초소형 전기차의 개념정의가 아직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자동차관리법상 승용차와 이륜차 등 어디에도 속하지 않아 도로 주행이 불가한 상태다.

산업부는 초소형 전기차 개발과 더불어 법·제도 개선을 위해 초소형 전기차의 법적정의와 안전규정, 그리고 보조금 등 지원제도를 산·학·연·관 전문위원회를 통해 검토 연구해 효율적 방안을 찾고 있다.

산업부 측은 “자동차의 안전규정을 모두 적용할 경우 초소형 전기차가 가지는 장점을 모두 잃게 된다. 반대의 경우는 저품질, 저가형 모델의 시장 난입으로 탑승자 안전과 권익을 해칠 수 있어 충분한 검토가 필요한 상황으로 합리적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