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해학생 다수인 학교폭력, 개인별로 면밀히 살펴 처벌해야
염현주
| 2015-03-02 15:23:33
시사투데이 염현주 기자] 학교폭력에 연루된 가해학생이 여러 명인 경우에 가해학생들의 개별 행위에 대한 방법과 정도, 가해행위와 피해의 인과관계 등을 면밀히 살피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진 학교폭력대책지역위원회의 재심결정은 위법·부당하다는 내용의 재결이 잇달아 나왔다.
국민권익위원회 소속 중앙행정심판위원회(이하 행심위)는 서울특별시 학교폭력대책지역위원회와 경기도 학교폭력대책지역위원회의 재심결정이 가해행위에 대한 사실관계 및 책임 범위에 대한 충분한 심의 없이 이루어져 위법·부당하다고 판단했다.
서울특별시 소재 고등학교 A학급 여학생들이 B양만 제외한 채 단체 카카오톡 대화방을 개설한 사건에서 해당 고등학교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는 사실상 A학급 여학생들의 행위를 학교폭력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아 선도위원회로 이관하고 학교폭력법상의 징계조치는 하지 않았다. 그러나 서울특별시 학교폭력대책지역위원회는 A학급 여학생 모두에게 ‘서면사과’를 결정했고 여학생들은 행정심판을 청구했다.
이에 대해 행심위는 A학급 여학생 중에는 B양을 제외하고 카카오톡 대화방을 개설하거나 B양에 대해 서운한 점을 게시한 학생도 있으나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대화방에 초대돼 단순히 다른 학생이 올린 글을 읽기만 한 수준에 그친 학생도 있는 점, 학생들과 교사 모두 사건 이후 B양과 A학급 여학생들이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의견을 제출한 점 등으로 관련 학생 모두에게 동일한 조치를 한 지역위원회의 재심결정은 합리성과 타당성을 갖춘 결정이라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한편,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에서는 다수의 남학생들로부터 놀림 등으로 괴롭힘 당하던 여학생 C가 자퇴했다. 해당 고등학교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는 가해 남학생들에게 무혐의 결정을 했고 경기도 학교폭력대책지역위원회 역시 동 결정이 적정하다는 이유로 C의 재심청구를 기각하자 C는 행정심판을 청구했다.
이에 대해 행심위는 가해학생들의 행위로 인해 C가 심한 모욕감과 불안을 느껴 고등학교를 자퇴한 점, 향후 일정 기간 심리치료가 필요한 정신적 피해를 입었던 점, C와 가해학생 사이에 원만한 화해가 이루어졌다고 볼만한 자료도 확인되지 않은 점 등 명확히 밝히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진 결정으로서 위법·부당하다고 판단했다.
행심위는 학교폭력 재심결정 취소청구 사건에 대해 2013년 71건, 2014년 69건 재결했다. 이 중 각하사건을 제외하고 심판청구인의 청구 전부 또는 일부가 받아들여진 비율은 2013년 13.4%, 2014년 9.5%로 2년간 인용률은 11.5%에 달한다.
행심위 측은 “다수 학생이 연루된 학교폭력 사안의 경우 자치위원회나 지역위원회에서 학생들의 행위를 개인별로 면밀히 살펴 구분하지 않은 채 동일한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개별 학생 별로 가해행위와 책임의 경중을 구분하고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행했는지가 중요한 심리요소 중 하나가 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