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총리, “평창올림픽은 사후활용까지 고려한 경제올림픽 돼야”

임소담

| 2014-12-19 10:39:48

제5차 지원위원회 열어 전반적인 대회준비상황 점검 국무조정실

시사투데이 임소담 기자] 정부는 18일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제5차 평창동계올림픽대회지원위원회를 열어 개·폐회식장과 경기장 진입도로 등 주요시설 설치계획을 확정하고 전반적인 대회 준비상황을 점검했다.

개·폐회식장은 평창군 횡계리 일원에 약 24만평 규모로 내년 1월부터 설계·건설사업을 추진하기로 확정했다. 개·폐회식장, 성화대, 메달수여식장 등 필수 시설 건립에 드는 비용 859억원에 대해서는 국비 50%, 조직위 25%, 강원도 25%로 재원을 분담하기로 했다.

그 외 개·폐회식장 주변에 들어설 홍보관 등 문화지원시설에 대해서는 해당 부지 마련을 강원도가, 부지 기반공사는 국비 지원, 문화시설 건립은 조직위가 수행하기로 했다.

개·폐회식장은 4만석 규모로 짓게 되나 대회 이후에는 1만 5천석만 남기고 나머지 시설은 철거해 사후 유지·관리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많은 관광객이 다시 찾을 수 있는 올림픽 유산 관광자원으로 보존해 활용할 계획이다.

수색~용산~청량리~서원주 사이 철도도 KTX가 다닐 수 있도록 시설을 개량하기로 했다. 이로써 인천공항에서 강릉까지 118분 걸리던 것을 98분까지 단축해 참가 선수들 수송이 보다 원활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강릉·평창 일원에 설계·공사 중인 경기장 진입도로 9개 노선에 더해 지방도456호선(월정삼거리~차항), 군도12호선(유천~용산) 등 7개 노선을 추가로 신설 확장해 교통량을 분산하고 경기장 접근성을 높이기로 했다.

정 총리는 “최근 IOC가 ‘어젠다 2020’을 내세우며 썰매종목의 분산개최를 제안했으나 평창의 경우 신설경기장을 모두 착공했고 대회까지 남은 일정, 경기장 건설 진행상황을 고려할 때 분산 개최안을 적용하기는 어렵다“며 “대회 준비과정에서 최적의 운영을 통해 예산 사용을 효율화하고, 경기장·선수촌 등 모든 부분에서 사후활용도를 높이는 ‘경제’ 올림픽이 돼야 한다”고 했다.

[ⓒ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